<p></p><br /><br />사회부 이은후 기자와 공포의 공간이 된 서울 동부구치소 안을 들여다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이 기자, 저희 채널A 앞으로 온 수용자 지인의 제보 편지를 보면, 구치소 내부 분위기가 전해진다고요? <br> <br>동부구치소에서 1차 전수검사가 이뤄진 다음날 한 수용자가 여자친구에게 보낸 편지인데요. <br><br>"원래 8명이 들어가는 방에 10명씩 무작위로 넣어두는데, 분위기가 데스노트 같다" 는 내용입니다. <br><br>주장의 진위는 따져봐야겠지만, 수용자들은 이미 상황이 심상치 않다, 이런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던 겁니다. <br> <br>[질문2] 동부구치소 안에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따져보죠. 확진자 1명이 800명 가까이 번졌고, 오늘 사망자까지 나왔어요. <br><br>수용자 첫 전수검사가 지난 18일 이뤄졌는데요, <br><br>200명 가까운 확진자가 나왔고요. <br> <br>2차 땐 300명에 육박했고, 3차 때도 크게 줄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700명이 넘는 숫잔데요. 내일 4차 검사 때도 이런 확산세가 이어지고 추가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<br>문제는 직원 1명이 최초 확진되고 수용자를 처음 전수검사하기까지 무려 3주가 걸렸다는 겁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가 K방역 성공요인의 첫번째로 꼽는 '신속한 검사'가 이뤄지지 않은 겁니다 <br> <br>지금만큼 엄격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던 때인만큼, 이 시기에 확산이 집중됐을 수도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3] 집단감염 경로는 아직도 밝히지 못하고 있는 거죠? 뭐가 가장 문제였던 겁니까? <br><br>동부구치소 내부구조를 볼까요. <br><br>건물 한 층에는 수용동이 5개가 있습니다. <br> <br>독실, 5인실, 8인실 등이 여러 형태가 있고, 수용동 한 개의 정원은 평균 50명 정도 되는데요. <br> <br>이들은 하나의 생활단위로 묶입니다. <br> <br>운동을 하거나 일을 할 때 함께 움직인다는 겁니다. <br> <br>밀접접촉이 불가피한 생활환경에 과밀수용 상태까지 겹쳤습니다. <br> <br>법무부에 따르면 당초 전체 수용정원이 2천 명이 조금 넘는데 집단감염이 이뤄졌을 당시 2천 4백명 넘게 들어가있는 겁니다. <br> <br>[질문4] 가장 기본적인 방역인 마스크가 제대로 지급이 안 돼 논란인데, 법무부는 예산이 없다고 했다면서요? <br><br>법무부는 KF94 마스크를 교정시설 수용자에게 매일 지급하면 하루에 최대 1억 원 가까이 소요되는 예산상의 문제가 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런 해명도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데요. <br> <br>이미 해외에서 구치소 집단 감염 사태가 잇따른 데다, 동부구치소의 경우 밀집, 밀접, 밀페 그러니까 3밀의 환경이 갖춰진 만큼 선제적으로 마스크 예산을 확보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, 이런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[질문5] 이런 준비들은 다 누가 해야 하는 겁니까? <br><br>교정시설을 전담 관리하는 법무부 책임인데요. <br><br>하지만 법무부는 오늘 낸 보도자료에서 "수용자 전수검사 필요성을 적극 제기했으나 서울시 등 지자체에서 이견을 보였다"며 책임을 떠넘겼습니다. <br><br>서울시는 그런 요청 자체를 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법무부는 중앙방역대책본부와 합동 진상 조사단을 꾸려 책임소재를 규명하고 대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인데요. <br> <br>방역 부실 책임이 있는 법무부가 포함돼 있어 일각에서는 '셀프 대책'이라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팔이 안으로 굽는 일은 없어야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6] 그런데 수용자들도 제대로 방역을 안 지킨다는 말도 나온다면서요? <br><br>네 교도관들 사이에선 일부 수용자들이 제대로 마스크를 쓰지 않는 등 방역 관련 지시를 잘 따르지 않는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법무부가 제대로 된 대처방안을 마련해도, 수용자들이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. <br> <br>[질문7] 책임을 따지는 것도 중요하지만, 무엇보다 더 퍼지는 건 막아야죠? <br><br>가장 우려되는 부분입니다. <br> <br>과밀 수용 해소를 위해 동부구치소 수용자들을 다른 교정시설로 이송하고 있는데, 이게 오히려 전파 범위를 넓히는 모양샙니다. <br> <br>서울 남부교도소, 강원 속초에 있는 북부교도소 등으로 이송된 수용자 1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또 있습니다. <br> <br>동부구치소 수용자 중에는 형이 확정되지 않은 미결수도 있는데요. <br> <br>이 중 확진 판정을 받은 80여 명이 수도권 소재 여러 법원에 재판을 받으러 다녀온 겁니다. <br> <br>이번 감염이 단순히 교정시설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로의 전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이런 방역 사각지대가 없는지 잘 살펴봐야 겠습니다. 사회부 이은후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