콘서트부터 뮤지컬까지…비대면 시대가 바꾼 문화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문화예술계는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맞으며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요.<br /><br />한편으로는 비대면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초유의 감염병 사태 앞에 문화계는 올해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.<br /><br />분야를 막론하고 일정 연기와 취소가 잇따랐고, 화려한 행사 대신 엄격한 출입 통제가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돌파구를 찾는 과정에서 위기는 기회가 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어서 와, 방방콘은 처음이지?"<br /><br />지난 6월 열린 방탄소년단의 첫 온라인 콘서트 '방방콘 더 라이브'는 동시 접속자 수만 최대 75만여 명에 달해 기네스 기록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현장 공연의 감동을 대신하진 못해도 저렴한 비용으로 생생한 무대를 즐길 수 있는 데다, 시·공간의 제약이 없는 확장성도 장점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국내 뮤지컬계에서도 '모차르트'를 시작으로 다양한 유료 온라인 공연이 안방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'킬러파티'와 같은 웹 뮤지컬도 등장하면서 뮤지컬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연극계에선 스테디셀러 연극 '늙은 부부 이야기'가 영화로 재탄생하는 등 공연 영상화 작업을 시도했습니다.<br /><br /> "공연 문화 자체가 기록적인 부분도 많이 필요하고요. 문화 예술들이 어떤 통로를 통해서든 소통할 수 있고 잘 만들어지길 원하는 거죠."<br /><br />올해 휴관과 재개관을 반복한 국·공립 문화 시설들은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우울을 느끼는 시민들에게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 같은 첨단기술로 색다른 관람의 기회를 제공해 호응을 얻었습니다.<br /><br />위기 속에서도 소통과 희망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한 문화예술계의 노력이 문화산업 도약의 전환점을 만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