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은 중국 우한에서 원인을 모르는 폐렴 환자가 발생했다고 세계보건기구에 보고 된 지 딱 1년 되는 <br>날입니다. <br> <br>1년 동안 전 세계 코로나 확진자는 8천만 명을 넘었습니다. <br> <br>일상생활로 복귀하기 위한 거의 유일한 방법이 집단면역인데요. <br><br>국민 60% 이상이 백신을 접종해야 가능합니다. <br> <br>정부가 목표로 한 내년 9월에는 가능할지, 이현수 기자 보도 보시고, 더 상세히 짚어보겠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금까지 5600만 명 분의 백신을 확보한 정부는 <br> <br>집단면역 완성 시기를 내년 9월까지로 잡았습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] <br>"현재는 5600만 명분 정도의 물량을 확정한 상황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물량에 대해서는 아직은 검토하고 있지는 않고…" <br> <br>집단 면역을 형성하려면 전체 인구의 60~70%인 3000만 명 이상이 백신을 접종해야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백신 도입부터 유통까지 불확실성이 많아 난관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일반적인 백신 항체 지속 기간은 6개월 안팎. <br> <br>2월에 접종을 시작할 경우 <br> <br>6월까지는 적어도 3000만 명분 이상이 차질없이 들어와야 집단 면역 형성이 가능합니다.<br> <br>하지만 얀센은 3상 임상 시험 중이고, 국제기구 '코백스'를 통한 백신 도입도 변수가 많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[정기석 / 한림대 호흡기내과 교수] <br>"한달 반에서 두달 사이 3000만 명 이상 집단 접종이 이뤄져야 소위 말하는 집단면역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겁니다. 2월에 맞은 사람의 항체가 12월까지 가긴 어렵거든요." <br> <br>방역당국은 3분기부터 물량이 많이 공급된다며 그때까지 최대한 접종을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현수입니다. <br>soo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