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경제정책산업부 김단비 기자와 내년에는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. <br> <br>Q. 집단면역, 이게 되어야 한다는 거죠? <br> <br>집단 면역은 서로서로가 일종의 방어벽이 돼 주는 건데요. <br> <br>예를 들어 회사 내 누군가가 코로나에 감염됐더라도 주변 사람들이 바이러스에 대항할 면역력을 갖추고 있으면 이게, 방어막을 형성해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바이러스는 사람을 타고 옮겨 다니는데 면역력을 갖춘 사람들이 바이러스 이동을 차단하는 겁니다. <br> <br>Q. 정부가 9월이면 집단 면역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데 내년 겨울에는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 건가요? <br> <br>정부 계획대로라면 실외에서는 어느 정도 벗을 수 있겠지만 조건이 있습니다. <br> <br>적어도 7월 안으로 국민의 60-70% 해당하는 3천만명 물량이 국내에 들어와 8월 안으로 접종을 마무리해야하는데요. <br> <br>집단면역의 효과는 전파력을 낮추고 치명률을 떨어뜨리는다는 겁니다. <br> <br>독감 백신의 경우 매년 10월에서 11월, 두 달 간 집중적으로 접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리 접종하지 말라고도 당부하는데요. 보통 백신 효과가 6개월 정도 유지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가령 9월에 너무 빨리 접종해버리면, 이듬해 봄까지 유행하는 독감에 대응할 수 있는 항체가 몸 안에 남아있지 않은 겁니다. <br> <br>내년 2월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시작하면 통상 백신 유효 기간인 6개월이 지난 9월에 추가 접종을 해야하냐도 고민해봐야 합니다. <br> <br>Q. 그렇다면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은 국회에 나와 “집단면역을 외국보다 오히려 빠르게 하겠다" 고 했는데 가능한겁니까? <br> <br>아직은 불투명합니다. <br> <br>정부가 제약회사와 계약을 맺을 때 도입시기는 대략 명시하지만 구체적으로 월마다 얼마나 들어오는지는 아직 언급이 없었습니다. <br> <br>물량이 한꺼번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접종의 공백이 길어져 집단면역 형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정은경 질병청장은 아직은 코로나 백신의 면역 효과가 얼마나 유지되는지 더 조사해봐야 한다고 말했는데요. <br> <br>2월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이 3분기까지 면역이 유지될 지 알 수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영국이 최근 미국 FDA와 유럽의약품청이 승인하지 않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긴급 사용을 승인한 이유도 바로 집단면역 형성 때문입니다. <br> <br>화이자 접종만으로는 상반기에 집단면역 수준까지 끌어 올릴 수 없기 때문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<br>서둘러 접종에 나선겁니다. <br> <br>Q. 영국 뿐 아니라 전 세계가 집단면역 형성을 위해 노력 중인데, 상황이 어떻습니까? <br> <br>접종이 가장 빠르다는 이스라엘도 접종이 국민의 10% 수준밖에 안됩니다. <br> <br>미국은 백신의 불신 여론까지 더해져서, 접종 인구가 전체 인구의 0.7% 수준입니다. <br> <br>그렇다보니 접종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코스트코나 월마트 내 약국 같이 접근이 쉬운 곳에서도 접종하는 방안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한미군에서 근무하는 카투사 50명이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오늘 코로나 백신을 접종했는데요. <br> <br>국내에서는 아직 승인을 받지 않은 모더나 백신을 접종했습니다. <br> <br>Q. 모더나 백신, 문재인 대통령이 연내 계약하겠다고 했었는데요. 오늘 마지막 날인데, 계약은 마무리가 됐나요? <br> <br>정부는 방금 긴급 브리핑을 열고 우리 일반 국민에 접종할 모더나 백신 2천만 명분에 대한 계약 체결을 <br>완료 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2분기부터 공급될 예정입니다.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현재 수립 중인 접종계획은 다음달에 발표할 예정이다”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><br>Q. 그나마 다행이네요. 지금까지 김단비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