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는 진행형…새해에도 고단할 학교생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코로나 사태로 학생들은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맞았고 학교 등교수업에도 여러 차질이 빚어졌죠.<br /><br />올해도 감염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학교 풍경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정인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학생들은 코로나 여파로 수차례 연기한 끝에 사상 처음 온라인 개학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개학 초기 원격수업 시스템 접속 오류로 학생들은 불편을 겪었고, 학교마다 수업의 질도 차이가 나 학습격차에 대한 우려도 컸습니다.<br /><br />좀처럼 잦아들지 않는 감염 확산세에 올해도 비대면 수업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제한적 등교가 계속 이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 "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교육청과 학교의 자율성은 높아지고 교육부의 학교 현장을 더욱 존중할 것입니다. 다만, 국가 전체의 방역 상황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므로…"<br /><br />수도권처럼 거리두기 2.5단계에선 전체 학교가 등교 인원 3분의 1 이하를 준수해야 하고, 2단계인 비수도권에서도 시간차 등교 등으로 밀집도 조정은 가능하지만 3분의 1이 원칙입니다.<br /><br />거리두기 1단계가 되더라도 전체 등교는 사실상 어렵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올해부터는 이런 방역 상황을 감안해 기존의 '줌' 등 민간 프로그램이 아닌 e학습터나 EBS 온라인클래스 등 기존 공공 학습관리시스템에 화상수업 기능을 전면 도입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가능하도록 해, 교사와 학생 간 원활한 소통을 지원하겠다는 취지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올해 역시 거리두기나 마스크 의무착용 등의 조치가 계속되면서 예년처럼 활기 넘치는 학교생활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. (quotejeo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