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는 신축년, 흰 소의 해입니다. <br /> <br />농경 사회 때부터 중요한 일꾼이자 재산이었고, 오늘날까지도 인간에게 아낌없이 주는 동물이죠. <br /> <br />우직한 소의 모습이 담긴 작품들 보시고, 다시 일상을 되찾을 힘 내보시는 건 어떨까요? <br /> <br />김혜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"참 불쌍해요, 말 못하는 짐승이라도. 나한테는 이 소가 사람보다 나아요." <br /> <br />가족보다 더 애틋한 소. <br /> <br />영화 속 할아버지의 소 사랑은 사실 농경사회에서는 당연한 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소는 값진 노동력을 줬고, '우골탑'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급할 때 목돈을 주는 큰 재산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연학 /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: 소를 한 구성원의 가족으로 생각했고 소는 농가의 조상이고 부모처럼 돌보라고 했습니다.] <br /> <br />한국의 대표 화가 이중섭은 소의 강한 힘을 그려냈습니다. <br /> <br />단순하지만 강렬한 그의 붓끝에서 탄생한 소는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표상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. <br /> <br />치켜뜬 눈에 활동적인 몸짓으로 소의 부지런함을 담아내거나, 순하고 큰 눈망울을 통해 제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우직함을 그려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를 통해 새해 소망을 재치있게 담은 카툰 작품들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바이러스를 물리치는 소부터 백신 주사를 들고 온 소까지, 일상을 되찾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[조관제 / 한국카툰협회 회장 : 각박하고 힘든 역병 속에, 이런 시대에 소처럼 묵묵히 자기 일에 최선을 다해서 이겨내는 그런 한 해가 되길 바라는 의미에서.] <br /> <br />하품 말고는 버릴 것이 없고, 힘들어도 힘들어 보이지 않는다는 소. <br /> <br />인내와 힘을 상징하는 흰 소의 얼굴은 새해를 일궈갈 우리들의 모습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혜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010102124002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