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무차별 확산되고 있는 영국, 백신이 유일한 희망인데, 접종에 좀처럼 속도가 붙질 않고 있죠. <br><br>이런 가운데 영국 정부가 두 차례 나눠 접종해야 하는 백신, 2차 접종 시기를 늦추기로 해 논란입니다. <br><br> 최대한 많은 사람이 1회차 접종이라도 받도록 하겠다는 전략이긴 하지만, 효과를 보장할 수 없다, 반론도 나옵니다. <br>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영국은 세계 최초로 화이자 백신 사용을 승인해 접종을 시작했지만 확산되는 변이 바이러스로 나흘 연속 5만 명대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[보리스 존슨 / 영국 총리] <br>“우리는 변이 바이러스에 직면했기 때문에 다시금 각성해야 하고 앞으로 몇 주 혹은 몇 개월간은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.” <br> <br> 당국은 결국 화이자 백신의 1차 접종과 2차 접종 사이 간격을 최대 12주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 1회차 접종 대상부터 늘려 면역 체계를 넓히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뮈니르 피르모하메드 / 영국 약품전문가 그룹 위원장] <br>"백신의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. 1차 접종 뒤에 22일을 기다려야 부분적으로라도 면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 영국 의학협회는 즉각 2회차 접종을 앞둔 사람들에게 부당한 조처라고 비난했습니다. <br> <br> 미국의 코로나 19 대응을 주도해온 파우치 소장도 접종 간격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[앤서니 파우치 /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] <br>“(1차 접종을 받은 뒤) 모더나의 경우 28일, 화이자는 21일을 기다리는 게 최적입니다.” <br> <br> 화이자는 “1회차 접종 후 21일이 넘어가도 바이러스 방어가 유지된다고 입증할 만한 데이터가 없다”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 영국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서도 4주인 접종간격을 12주로 연장하도록 권고했습니다. <br> <br> 2회차 접종 시기에 앞서 접종한 백신을 확보 못하면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는 지침까지 나와 안정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