작년 전국 집값 8.35%↑…2006년 이후 최고 상승 <br />"입주물량 감소에 전셋값 상승으로 집값 오를 듯" <br />"다주택자 매물 늘고 각종 규제로 급등 없을 듯"<br /><br /> <br />지난해 전국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올해도 집값 상승 계속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입주 물량 부족과 전셋값 고공행진이 계속된다면 집값이 하락하지는 않을 거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전국 집값은 8% 넘게 올라 14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남기 경제부총리는 부동산 시장 불안에 대해 사과하면서 올해는 다를 거란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(지난달 22일) : 시장 안정세가 정착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정책 당국자로서 안타깝고 송구스러운 마음입니다. 내년(2021년)에는 올해 추진된 정책이 본격 시행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.] <br /> <br />정부가 올해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준비한 카드는 공급 확대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4만천 가구를 포함해 전국에서 아파트 31만9천 가구를 공급하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 수치가 공공임대를 포함한 목표치여서, 민간 업체 전망과는 차이가 있단 겁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정보업체들은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이 지난해보다 대폭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공급 물량과 함께 전셋값도 중요한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전셋값이 계속 오르면 전세 수요가 매수로 돌아설 수 있고, 높은 전세 보증금을 바탕으로 한 '갭 투자'도 쉬워져 집값을 떠받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: 새해에는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데다가 임대차 3법 시행에 따른 전세 매물 잠김 현상도 계속될 수 있어서…전세 불안이 계속되면 아예 집을 사려는 수요도 나타날 수 있어서 곧바로 매매시장 불안까지도 이어질 수도….] <br /> <br />여기에 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여 집값이 오를 거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다만 올해 상반기에 다주택자들의 양도세 절세 매물이 나올 수 있고, 대출 규제도 한층 강화돼 급등은 없을 거란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임병철 /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: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경기 둔화와 보유세 부담 등의 영향으로 2020년과 같은 두 자릿수 이상의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또 새롭게 수장을 맞은 국토부가 어떤 추가 공급 방안과 규제를 내놓느냐에 따라서도 집값은 영향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10304520268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