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백신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우리 정부는, 미국 화이자 백신도 다음달에 일부라도 들여올 수 있도록 민간 채널까지 총동원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그렇게 되면, 4개 백신 모두 상반기 내에 도입되는 건데요.<br><br>하지만, 화이자 백신을 들여와도 한 달 만에, 영하 70도 유통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. <br>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정부 발표대로라면 다음달 아스트라제네카를 시작으로 2분기에는 얀센과 모더나, 3분기에는 화이자 백신이 국내에 도입됩니다. <br> <br>정부는 이 중 화이자 백신 도입시기를 당장 다음달인 2월로 앞당기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정세균 국무총리는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"화이자 물량의 일부를 2월 도입하기 위한 민관 프로젝트가 <br>추진되고 있다"면서 "성사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[정은경 /중앙방역대책본부장] <br>“3/4분기부터 물량이 공급되는 것으로 그렇게 일정을 잡고 있습니다. 그런데 그 부분을 좀 더 조기에 공급을 받기 위해서 계속 화이자와 협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.” <br> <br>하지만 2월 도입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. <br> <br>국내 접종을 위한 식약처 허가 심사에만 최소 40일이 걸리는데, 화이자는 아직 허가 신청도 접수하지 <br>않은 상태. <br> <br>영하 70도 이하로 유통하는 체계인 이른바 콜드체인도 한달 안에 준비가 가능할지 의문입니다.<br> <br>방역당국은 3월 안에 별도 접종센터를 최대 250곳 지정할 계획인데 현재 초저온 냉동고 구입을 위한 조달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정기석 /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] <br>“준비해야할 게 많죠. 여기저기 배분하면 안 되잖아요. 정확히 계산 하에 배분해야하거든요. 화이자 백신은 자꾸 옮기면 (안 되니까)” <br> <br>방역당국도 영하 70도를 유지하는 접종센터 구축이 가장 오래 걸리고, 난이도 있는 준비사항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kubee08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정승호 <br>영상편집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