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그렇다면 이란은 왜 우리 선박을 타깃으로 했을까요. <br> <br>우리는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고도, 그 대금을 보내주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이 이란의 핵개발 제재 차원에서 동맹들에게 자금 동결을 요구했기 때문이죠. <br> <br>이번 나포는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이란이 그 돈을 백신과 맞바꾸기 위한 압박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강은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이란 군에 우리 선박이 나포되기 전날은 이란 군부 실세 솔레이마니가 사망한 지 1주년 되는 날이었습니다. <br> <br>[이란 방송(지난해 1월)] <br>"이슬람을 위해 치열한 투쟁을 벌여온 솔레이마니가 미국 헬기(드론) 공격으로 순교했습니다." <br> <br>이란이 미국에 대대적인 보복을 예고해왔다는 점에서 우리 선박을 나포한 건 미국을 향한 메시지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는 2010년부터 이란산 원유를 수입해왔는데 3년 전 미국이 대이란 제재를 강화하면서 7조 6천억 원 규모의 대금을 결제해주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폴라 핸콕 / CNN 한국 특파원] <br>"(한국의 은행 계좌가 동결된 건) 미국이 부과한 제재 때문이죠. (선박을 억류한 건) 환경오염보다 정치적 요소가 크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" <br> <br>코로나19 확산과 미국의 경제 제재로 이란의 경제난은 심각합니다. <br> <br>1년 전보다 물가는 30% 넘게 치솟았고, 코로나 사망자는 5만 6천 명으로 중동에서 가장 많습니다. <br> <br>현지 언론은 이란 제1부통령이 한국내 동결 자금을 소진하는 방법으로 "코로나19 백신 구입을 제안했다"고 보도했습니다. <br><br>한국 정부가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에 동결돼 있는 이란 자산을 백신 국제기구에 대신 입금하는 방식입니다. <br> <br>우리 선박이 억류된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송선의 3분의 1이 지나는 전략적 요충지. <br> <br>이란은 미국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이곳을 봉쇄하겠다고 위협했고 2년 전 영국 선박도 두 달 넘게 억류된 바 있습니다. <br> <br>미 국무부는 이란에 한국 선박을 즉시 풀어줄 것을 촉구해 나포 사건이 국제분쟁으로 비화될 조짐도 일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