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인이를 지키지 못한 데는 정치권에도 책임이 있습니다. <br> <br>학대받는 아동에 대한 조치를 제 때 안한 경찰에 책임을 묻거나, <br> <br>학대 의심 아동 신고를 의무화하는 법안들이 <br> <br>수십 개나 발의됐지만 국회에 잠만 자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정세균 국무총리는 고통속에 세상을 떠난 정인이를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며 뒤늦게 사과했습니다.<br> <br>[정세균 / 국무총리] <br>"충격적인 아동학대 범죄가 근절되지 않고 있어 총리로서 송구스럽고 안타깝게 생각합니다. <br> <br>정치권은 앞다퉈 대책 발표에 열을 올립니다. <br> <br>[홍익표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] <br>"아동보호전담요원을 확충하고 아동보호전문기관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전문 인력을 확보할 것입니다" <br> <br>[김도읍 / 국회 법사위 국민의힘 간사] <br>"정인이법은 저희들이 임시국회 때 통과시키기로 그렇게 합의를 했습니다." <br> <br>이제서야 국회에 계류된 90여건의 아동학대 법안 중 일부를 처리하겠다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국회가 제때 법안을 통과 시켰더라면 정인이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정인이에 대한 3차례 학대 신고를 경찰이 지나쳤는데, <br> <br>20대 국회에서는 조치를 하지 않은 경찰을 처벌하는 법안이 발의됐습니다. <br> <br>[서영교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지난해 7월)] <br>"아동이 재학대당하는 상황이 만들어졌을 때는 경찰도 책임을 져야 된다“ <br><br>학대가 의심되는 아동을 발견할 경우 신고를 의무화 하는 법안도 발의됐지만 임기 만료로 모두 폐기됐습니다.<br> <br>문제가 터질 때만 반짝 대책을 말로만 내놓는 정치권의 행태가 이번에는 바로잡힐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한규성 <br>영상편집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