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신 접종간격 늘리기 확산…영국 이어 독·덴마크 동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, 물량 부족으로 차질이 생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에 이어 유럽연합 일부 국가도 1, 2차 접종 간격을 벌려 접종 대상을 확대하는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.<br /><br />방주희 PD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영국이 코로나19 백신의 1회차와 2회차 접종 간격을 12주로 늘린 데 이어, 미국은 백신 1회 접종량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신 부족으로 신속한 보급에 어려움을 겪자 1차 접종 확대로 보호 대상을 확대하는 게 현실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에서 나온 전략입니다.<br /><br />유럽 일부 국가들 역시 이 같은 전략에 동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옌스 슈판 독일 보건부 장관은 화이자-바이오엔테크 백신의 2차 접종 시기를 6주 뒤로 미루는 방안을 연구하라고 질병관리당국에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덴마크 보건당국 역시 화이자 백신의 접종 간격을 최대 6주까지 늘리기로 하면서 가능할 때가 되면 언제라도 3~4주 간격을 권고하는 원래 지침을 따르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의료계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가능한 많은 사람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며 일부 찬성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에 제약업체는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.<br /><br />3주의 접종 간격을 권고하고 있는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2차 접종 시기를 늘리는 방안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각국이 백신 공급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, 미국 뉴욕주는 백신 접종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접종이 더딘 병원에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일주일 내에 보급된 백신을 소진하지 못하는 의료기관에 최대 10만 달러의 벌금을 물릴 것입니다. 또 추후 백신 물량도 배정하지 않겠습니다."<br /><br />뉴욕주는 또 의료기관이 우선순위 접종대상이 아닌 사람에게 먼저 백신을 투여하거나 판매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주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