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이른바 '정인이 사건'과 관련해 긴급 관계장관 회의를 열고 입양 절차 강화 등의 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아동 학대 사건이 터질 때마다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현실은 제자리걸음이라는 게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입양 아동이 부모 학대로 숨진 이른바 '정인이 사건'이 전 국민의 공분을 사자 정부가 부랴부랴 관계장관 긴급회의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는 예비양부모 검증을 엄격히 하고, 입양 후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전국 모든 시군구에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을 두고, 경찰청에 아동학대 총괄 부서를 새로 만드는 등의 대책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아동 학대 정부 대책은 관련 사건이 큰 문제가 될 때마다 반복돼왔습니다. <br /> <br />긴급회의를 주재한 정세균 국무총리도 이 같은 점을 인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세균 / 국무총리 : 그동안 정부가 여러 차례 대책을 마련해서 추진하고 있음에도 '정인이 사건'과 같은 충격적인 아동학대 범죄가 근절되지 않고 있어 총리로서 송구스럽고 안타깝게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도 이번 정인이 사건뿐 아니라 아동 학대 사건이 터질 때마다 대책을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학대받는 아이들을 엄마의 마음으로 챙기라며 인력 보강을 주문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경찰의 날에는 경찰의 아동학대 방지 노력을 치하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해 10월 경찰의날 기념사) : 유관 기관과 아동학대 점검팀을 구성해,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 아동을 발굴하고, 8,500명의 재학대 위기 아동을 집중점검 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이번 정인이 사건에서는 양부모의 학대 못지않게 경찰의 부실한 대응이 국민적 분노를 사면서 빛이 바랬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아동복지법 개정안이 시행되는 오는 3월부터는 보다 강력한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지만, 아동 학대 범죄를 뿌리 뽑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선기[sunki052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10521462923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