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간산업의 반등…해운·조선 이어 철강도 '훈풍 조짐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사태로 경제 전반은 참 어렵죠.<br /><br />하지만 경기를 미리 반영하는 기간산업에는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물동량 증가로 해운 운임이 급등하고 조선은 수주가 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그 훈풍이 철강업으로도 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세계 컨테이너 운송 15개 주요 항로의 운임을 종합한 상하이 컨테이너운임지수는 지난 1일 한 주 전보다 141.16포인트 오른 2,783.03, 역대 최고치를 찍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0월 초부터 12주째 오른 건데, 유럽과 지중해 항로 운임은 급등했고 소폭 내린 미주 노선 운임도 여전히 컨테이너당 4,000달러가 넘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여파로 꽁꽁 얼어붙었던 글로벌 물동량이 회복세를 타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 "가용할 수 있는 모든 선박이 투입된 상황이라고 보셔야 하고, (수요에 비해) 공급적인 부문에서 조절이 안 되는 거죠"<br /><br />그러자 선박 발주도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빅3 조선사의 수주량은 지난해 3년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했고 올해도 전망이 밝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로 지연된 발주 수요와 사상 최대 액화천연가스선 사업인 카타르 LNG선 발주가 본격화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을 낮추는 환경 규제까지 본격화하면서 노후 선박 대체 수요도 몰릴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조선업에 도는 생기는 철강업계로도 확산할 기세입니다.<br /><br />4년 만에 조선용 철강재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낼 수 있게 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미국과 유럽의 경우에는 철강 가격이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원료인 철광석 가격도 100달러를 훨씬 넘는 상황이기 때문에 당분간 철강 가격 상승에 대한 압박이 불가피할 것으로"<br /><br />여전한 코로나19의 기세에 내수는 차갑지만 기간산업에는 미세하나마 훈풍이 감지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