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결국 이란이 한국을 지렛대 삼아서 미국과의 협상력을 높이려 한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바마 대통령이 체결한 이란 핵 합의를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깼고 지금까지 기조대로라면 이란에 대한 미국의 경제 제재는 계속 강화되는 추세입니다. <br> <br>사이에 낀 우리 입장이 난처해졌습니다. <br> <br>한수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활주로에 드론 수백대가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길게 줄지어 서 있습니다. <br> <br>이란군은 어제부터 이틀간 중북부 셈난주에서 처음으로 대규모 드론 군사 훈련을 시작했습니다. <br><br>미국이 연초 전략폭격기 B-52 2대를 걸프 해역에 출격시키고 귀환하려던 항공모함까지 이란 근처에 <br>배치하기로 계획을 바꾸자, 이란도 반격에 나선 겁니다. <br> <br>한국 선박을 나포한 날엔 이란 핵합의에서 규정한 우라늄 농축 제한 농도를 더 높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[알리 아크바르 살레히 / 이란 원자력청장] <br>"(핵시설에서) 순도 20% 우라늄을 법정 한도인 총 120kg을 만들 겁니다." <br> <br>결국 미국과 이란의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던 한국 선박이 나포된 건 미국을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폴라 핸콕 / CNN 한국 특파원] <br>"한국은 핵심 동맹인 미국과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이란과의 이해관계도 있기 때문에 곤란한 입장에 처해있습니다." <br> <br>이 시점에 미국은 대이란 추가 경제제재를 단행했습니다. <br> <br>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은 이란의 철강 금속 제조업체 12곳과 해외 판매대행사 3곳 등 15곳의 이란 업체를 블랙리스트에 올렸습니다. <br> <br>[장지향 /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연구센터장] <br>"(이란이) 벌써 몇해째 그 돈 내놓으라고 난리를 치는데. 어쩔 수 없이 우리가 중간에 끼어서 지금 공격의 대상이 (됐습니다.)" <br> <br>임기를 2주 남긴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가 이란을 더 자극해 바이든 행정부와의 협상을 어렵게 만들 경우 우리 정부의 대처도 더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. <br> <br>sooah72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