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외교안보국제부 김민지 차장과 미국이 어쩌다 이렇게 된 건지 살펴보겠습니다. <br> <br>Q1. 트럼프 대통령, 최후 보루라고 본 펜스 부통령마저 등을 돌리면서 지금 고립무원 상태라면서요? <br> <br>트럼프 대통령, 오늘 수 만 명 지지자들이 결집한 것보다 이 한 사람의 배신에 큰 충격을 받았을 겁니다. <br> <br>바로 펜스 부통령입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은 펜스 부통령이 부정선거를 뒤집을 수 있는 결정권이 있다고 계속 압박해왔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전 펜스 부통령이 옳은 일을 하길 바랍니다. 펜스 부통령이 옳은 일을 한다면 우리는 선거에서 이기기 때문입니다." <br> <br>하지만, 펜스 부통령은 트럼프에게 등을 돌렸습니다. <br> <br>[마이크 펜스 / 미국 부통령] <br>"오늘 국회의사당을 엉망으로 만든 사람들은 이기지 못했습니다. 폭력은 결코 이길 수 없습니다. 자유만이 승리합니다." <br> <br>폼페이오 국무장관을 비롯해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 등도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도 거리두기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Q. 고립무원 정도가 아니라 임기 2주 남은 트럼프 대통령을 탄핵이나 해임까지하자는 말이 나오던데 가능한가요? <br> <br>미국에서 현직 대통령을 물러나게 하는 방법은 탄핵과 수정헌법 25조 발동 두 가지입니다. <br> <br>수정헌법 25조는 대통령이 그 직의 권한과 의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부통령이 직무를 대행하도록 허용하고 있는데요.<br> <br>심각한 수술을 받았거나, 직무 수행이 어려울 경우인데요. <br> <br>트럼프가 가짜 뉴스를 퍼뜨리며 분열을 조장하고 있는 위험인물인만큼 즉각 쫓아내야 한다는 게 민주당 측 주장입니다. <br> <br>25조를 발동하려면 펜스 부통령과 내각의 과반수 동의가 필요한데 트럼프 대통령 임기가 2주 밖에 안 남은게 변수란 얘기도 나옵니다. <br> <br>Q. 이제 뒤집기는 힘들 것 같은데, 트럼프 대통령은 남은 2주 동안 어떻게 하겠다는 건가요? 취임식에도 안 올 거라는 말도 나오던데요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은 남은 2주, 출구 전략에 더 고심하고 있을 겁니다. <br> <br>선거 결과는 인정할 수도 없고 관례상 전임 대통령들이 참석하는 대통령 취임식도 간다고 한 적 없죠. <br> <br>스코틀랜드에 골프를 치러 가려다 스코틀랜드에서 거부했다는 보도까지 나왔습니다. <br> <br>이런 자신감에는 대선 결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, 4년 전 선거때보다 1천 만 표 이상 많은 7천 4백만 표를 더 얻었습니다. <br> <br>대선 패자 중에서는 최다 득표입니다.<br> <br>이 득표를 바탕으로 2024년 대선 재출마를 할 것이라는 얘기까지 나왔는데요. <br> <br>이번 폭력 시위 사태로 중도 층이 돌아설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궁금한 게 오늘 이런 극단적인 시위세력이 진짜 극소수인가요? 아니면 실제 승복하지 못하는 국민이 미국에 많은 건가요? <br> <br>미 언론들은 이번 시위에 수 천명의 트럼프 극성 지지자들이 모였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아주 많다고 볼 수는 없지만, 적다고 무시할 수준은 아닙니다. <br> <br>트럼프 지지층인만큼 백인들이 대다순데요. <br> <br>조지 플로이드 사태의 대규모 시위처럼, 만약 흑인들이 의사당에 난입했다면 더 큰 참사를 불렀을 것이란 주장도 나옵니다. <br> <br>Q. 아까 김정안 특파원이 만난 시위대는 대통령 취임식 때 다시 모일거라는 경고도 했던데, 20일 대통령 취임식은 제대로 열릴 수 있을까요? <br> <br>워싱턴D.C 시장은 취임식까지 비상사태를 연장한 상태입니다. <br> <br>총기 휴대 금지나 심야 통행 금지 등 강력한 조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그럼에도 취임식은 예정대로 열릴 것 같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도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가 의회에서 확정되자 성명을 내고 "이번 선거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는 없지만 오는 20일 질서있게 정권 이양을 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앵커] 통합과 승복의 미국 본모습을 되찾았으면 좋겠네요. 지금까지 김민지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