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의사당 난입 사태로 전 세계로부터 망신을 당한 미국의 정치권은 시위를 부추긴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집중 포화를 쏟아 붓고 있습니다. <br> <br>남은 임기 2주 조차 못 참겠다며, 탄핵, 해임, 기소 가능성까지 언급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궁지에 몰리자 트럼프 대통령은 돌변했습니다. <br> <br>어제까지만 해도 “의회로 행진하라”며 부추키더니 오늘은 “의사당 난입은 극악무도한 행위“라며 시위대를 비난했습니다. <br> <br>처음으로 순탄한 정권 이양도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 김정안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의회를 점거했던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 수천 명이 쫓겨난 자리. <br> <br> 의회 밖에선 작업이 분주합니다. <br> <br>폭력 시위대를 차단하기 위한 높이 2미터가 넘는 임시 울타리가 의사당 건물을 에워싸는 등 <br> <br>20일 예정된 대통령 취임식까지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<br> 시위대를 애국자라고 불렀던 트럼프 대통령은 하루 새 돌변했습니다. <br> <br> 난입을 선동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유혈사태까지 벌어지자 한껏 몸을 낮춘 겁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폭력을 사용한 이들은 결코 우리 미국을 대표하는 모습이 아닙니다." <br> <br>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바이든 당선인이 대통령으로 확정되자 "순탄한 정권 이양을 위해 노력하겠다"며 대선 패배를 사실상 처음 인정했습니다. <br> <br> 선거부정 주장은 굽히지 않았지만 평화롭게 백악관을 떠날 것임을 공식화한 겁니다. <br> <br> 일레인 차오 교통장관 등 행정부 수장들은 속속 사퇴 의사를 밝히며 등을 돌렸습니다. <br><br> 펠로시 하원의장은 단 하루도 트럼프에 대통령 직을 맡길 수 없다며 해임을 촉구했습니다. <br><br>[낸시 펠로시 / 미국 하원의장] <br>"수정헌법 25조를 동원해 대통령을 몰아내도록 요청하고 부통령이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의회는 탄핵 절차를 준비할 겁니다." <br> <br> 사법당국은 의회점거를 선동한 혐의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적용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민주당 하원의원 13명도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데다 상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한만큼 그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지배적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. <br> <br>jki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