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마존·구글 자율주행 투자…IT기업이 자동차에 왜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자율주행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글과 아마존은 이미 자율주행 택시를 내놓았는데요.<br /><br />알리바바, 텐센트 등 중국 IT기업들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완성차업체도 아닌 IT기업들이 자동차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이유, 나경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운전석에 아무도 없는 차에 승객들이 올라탑니다.<br /><br />스마트폰에서 운행 시작을 누르자 속도가 붙고 운전대가 알아서 돌아갑니다.<br /><br />구글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업체 웨이모가 미국 피닉스에서 최초로 상용화한 자율주행 택시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엔 네모난 자동차에 승객 2명이 마주 보고 앉습니다. 자동차 안에 운전석이 아예 없습니다.<br /><br />아마존이 지난해 인수한 스타트업 '죽스'가 공개한 자율주행 택시입니다.<br /><br />이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바이두, 알리바바, 텐센트, 화웨이 등 이른바 베스(BATH)로 불리는 중국의 빅테크기업들도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완성차업체들보다 세계의 IT기업들이 자동차 관련 기술 개발에 열중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자율주행 기술은 레벨 0부터 5까지, 여섯 단계가 있는데 현재 기술은 레벨 2~2.5 수준.<br /><br />운전자 개입이 전혀 필요 없는 상태, 레벨 4 이상의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시대가 오면 빅테크기업 입장에선 새로운 시장이 열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운전대에서 손을 뗀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소셜미디어를 즐기고 영상을 볼 것이란 상상, 빅테크기업들이 그리고 있는 미래 모습입니다.<br /><br /> "결국은 모빌리티 쪽을 누가 지배하느냐가 미래 비즈니스 모델을 갖느냐, 못 갖느냐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네이버와 카카오도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전기차와 함께 자율주행 시장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