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디지털 소외' 중국 노인 2억명, 코로나 사태로 이중고

2021-01-10 1 Dailymotion

'디지털 소외' 중국 노인 2억명, 코로나 사태로 이중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이 디지털 강국으로 급부상해 세계의 주목받고 있지만, 이면에는 그림자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노인들이 급격한 디지털화를 따라가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인데요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임광빈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랴오닝성 푸순의 한 버스에서 기사와 승객들이 한 노인을 향해 고성을 지릅니다.<br /><br />버스기사가 '스마트폰 건강 코드'를 보여달라고 요청했지만, 노인이 갖고 있지 않았던 겁니다.<br /><br /> "빨리 내려요."<br /><br /> "당신이 건강코드를 등록해야 내가 타잖아요."<br /><br /> "등록도 않고 버스를 타려고 해요. 경찰 부를 거예요."<br /><br />한참 고성이 오가던 끝에 결국 노인은 버스에서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길거리 노점상에서도 스마트폰 결제가 일반화될 만큼 빠르게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중국에서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치 않은 노인들이 일상 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다중이용시설은 물론 자신이 사는 아파트 입구에서조차 '스마트폰 건강 코드'를 요구하다 보니, 노인들은 밖을 나서기가 두려울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디지털 절벽'이라고 불리며,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이에 중국 정부도 최근 고령자들을 상대로 한 다양한 디지털 교육과 서비스를 강화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상하이에서는 스마트폰이 없이도 일정 장소에서 '콜택시'를 부를 수 있는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55세 이상 사용자가 전체 35%를 차지합니다. 상업적으로 현명한 투자가 아니라고 볼 수 있지만, 사회적 책임이 있는 사업입니다."<br /><br />중국의 60세 이상 고령자 2억 5천만명 중, 인터넷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은 2억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