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언제나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해 정적을 공격하고 지지자를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의사당 난입 사태를 계기로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잇따라 제재를 가했는데요. <br /> <br />최대 고객이기도 했던 트럼프를 내치면서 트위터는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3조 원 가까이 빠지며 타격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가 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4년 임기 내내 '트위터 정치'를 폈습니다. <br /> <br />수시로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국내외의 정적을 공격했으며, 고위 관료의 해고도 트위터로 알렸습니다. <br /> <br />렉스 틸러슨 국무장관과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 등 많은 고위직의 해임과 경질이 트위터에 먼저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재선 도전 과정에서 트럼프가 올린 트윗은 허위정보 딱지가 붙으며 잇따라 제한 조치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사상 초유의 의사당 폭동이 벌어지자 트위터는 지난 8일 트럼프 계정을 영구 정지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8천800만 팔로워를 거느린 트럼프의 영향력은 막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지 조치 후 첫 거래일인 11일 뉴욕 증시에서 트위터의 주가는 6.4%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가총액은 하루 새 26억 2천500만 달러, 약 2조 9천억 원이 증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계정을 무기한 정지한 페이스북의 주가도 하루 4%나 떨어짐에 따라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[카임 시겔 / 일레이저 어드바이저스 애널리스트 : 트럼프가 탄핵을 당하지 않는다면, 그는 상원이 바뀔 때까지 공화당에 영향력을 가질 것입니다. 따라서 투자자들은 공화당의 반격에 따른 영향 (소셜미디어 기업들의 타격)을 우려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 CNBC 방송은 두 회사의 주가 급락은 트럼프 계정 정지에 따른 후폭풍으로, 소셜미디어의 면책 권한을 보장한 통신품위법 230조 폐지 논란이 불붙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의회 폭동을 계기로 애플과 구글, 아마존 등 '빅테크'도 트럼프 지지자들이 애용하는 소셜미디어 앱을 속속 차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입이 묶인 트럼프와 지지자들은 소송을 제기하며 본격 반격할 태세여서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[kim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11223041995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