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고용한파…일자리 외환위기 뒤 최대폭 감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한파가 덮친 지난해, 일자리 사정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좋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대면 서비스업에 타격이 집중됐고 고용 취약계층은 물론 자영업자도 크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년 내내 코로나에 시달렸던 지난해 고용시장.<br /><br />사정이 이렇다 보니 재작년보다 취업자는 21만8,000명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외환위기가 몰아친 1998년 이후 최대 감소 폭입니다.<br /><br />길거리에 줄을 잇는 '임대' 표시들이 보여주듯 타격은 대면 서비스업에 집중됐고 이 업종 취업이 많은 고용 취약계층의 타격이 특히 컸습니다.<br /><br />도소매업과 숙박·음식점업에서 2013년 통계 개편 이래 가장 큰 31만9,000명의 고용 감소가 나타난 겁니다.<br /><br />임시직은 1989년 통계 작성 뒤 가장 많은 31만 명이 줄었고 일용직이 10만 명, 직원을 둔 자영업자도 1998년 외환위기 뒤 최대인 16만 명이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재정 일자리가 늘어난 60대 이상을 뺀 전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줄어 고용률은 2013년 이후 최저치인 60.1%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실업자도 111만 명에 육박해 2000년 이후 가장 많았고 실업률은 2001년 이후 최고였습니다.<br /><br />3차 대유행과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지난해 12월 고용 사정은 더욱 나빴습니다.<br /><br />1년 전보다 취업자가 62만8,000명 급감해 거의 22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 "연초에는 이게 아직 코로나 영향에 대한 부분이 업종별로 들어왔다 나왔다 이랬었는데 이게 한 1년 정도 이어지면서 계속 누적돼왔던 업종들에서 훨씬 더 심화되지 않았나…"<br /><br />정부는 1분기 직접 일자리 사업의 80%인 83만 명을 집중 채용하고 일자리 예산 38%를 조기 집행할 방침이지만 코로나19 종식 전까지 고용 한파를 멈추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