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자동차 생산·수출 감소…내수 역대 최다로 선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은 코로나19 여파로 생산과 수출 모두 뒷걸음질 쳤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주요국 중 유일하게 내수에서 선방하며 생산 순위는 2계단 상승에 세계 5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생산 대수는 351만대로 11% 넘게 감소했고, 수출판매 대수는 21.4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에 따른 중국 공장의 부품 공급 차질과 판매 위축 등으로 생산·수출 모두 4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다만 세계 10대 생산국 가운데 중국을 제외하면 생산량 감소가 가장 낮아 국가별 생산순위는 7위에서 5위로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자동차 수출금액은 감소했지만, 자동차 1만 대당 수출단가는 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% 넘게 늘어 고부가가치화됐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특히 내수는 개별소비세 인하와 신차 출시 영향으로 5.8% 증가한 189만대로, 주요국 중 유일하게 증가해 역대 최다 판매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팰리세이드, 쏘렌토, 투싼 등 SUV 차종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레저용 차종이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점도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친환경차 성장세도 두드러졌습니다.<br /><br />내수는 58.7% 늘어난 22만 7,000대, 전체 판매 중 비중은 12%로 사상 처음 10%를 넘었고, 수출은 6.8% 증가한 27만 6,000대로 모두 역대 최고치입니다.<br /><br /> "SUV와 중대형 모델들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함으로써 국내 판매 가격 고부가가치화에는 기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올해부터는 전기차 모델의 다양화와 가성비 제고에 적극 노력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한편, 급감했던 생산과 수출이 지난해 하반기 회복세를 보였지만, 유럽의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수요 위축 영향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