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 이후 중고 물품 수출 시장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. <br> <br>현장에 가보니 수출이 막힌 중고차들이 위험하게 불법 주차돼 있고, 헌 옷은 수천 톤 방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조현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인천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중고차 수출단지. <br> <br>주차된 차량들로 빈 공간을 찾을 수 없습니다. <br> <br>일부 차량들은 근처 도로까지 나왔습니다 <br> <br>번호판을 떼낸 차량들이 차도는 물론 인도까지 점령했습니다. <br> <br>사고 위험은 물론 주민들 불편도 큽니다. <br> <br>[인근 주민] <br>"버스 탈 때 (불법 주차된 차들 때문에) 불편하죠." <br> <br>중고차 수출길이 막히면서 수출업체들이 방치해 놓은 겁니다. <br> <br>코로나 사태 여파로 바이어 방문도 뚝 끊겼고 중고차를 실어나를 선박 운영도 어려워지면서, 갈곳을 읺은 중고차는 인천에서만 4만 대가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<br>금액으로 치면 2조 원이 넘습니다. <br> <br>수출부두 사용료 감면 같은 지원책이 있지만 손해는 업체들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합니다. <br><br>[조현진 / 기자] <br>"부두에는 이처럼 주차된 차들로 가득 찼는데요. 이들 차량이 언제 수출될 수 있을지 기약조차 없습니다." <br><br>[이정렬 / 중고차 수출업체 운영] <br>"가장 힘든 시기가 지금이에요. 그 전에는 바이어들이 많았기 때문에 항상 비즈니스가 이뤄지는데 지금은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죠." <br> <br>창고 안에 헌 옷이 가득 쌓여 있습니다. <br> <br>이 업체에서 보관하고 있는 헌 옷만 1천 톤이 넘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90% 정도가 동남아 등으로 수출됐는데, 코로나 사태 여파로 판로가 막혀버린 겁니다. <br> <br>kg당 400원이던 헌 옷 값은 2백 원까지 떨어졌지만, 수거할 때마다 손해가 더 커진다고 업체들은 하소연합니다. <br> <br>[김우환 / 의류 재활용업체 대표] <br>"원자재에서 그러지(손해를 보지) 쓰레기 처리 비용에서 그러지, 임대료 나가지, 인건비 나가지 감당하기가…한계치가 와서." <br> <br>한때 수출 효자상품으로 불리던 중고 제품들, 코로나 여파로 수출길이 막히면서 애물단지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<br>jji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