탄핵 논의 상원으로…3분의 1 반란표 나와야 가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탄핵 논의는 이제 미 상원으로 공이 넘어갔습니다.<br /><br />상원에서 탄핵 심판을 거쳐 최종 탄핵 여부를 결정하는데요.<br /><br />공화당이 의석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어서 하원과는 다른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임주영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탄핵안이 하원 문턱을 넘으면서 이제 공은 상원으로 넘어갔습니다.<br /><br /> "오늘 하원은 초당적인 방식으로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그 누구도 법 위에 있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."<br /><br />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 심판을 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상원에서 심리를 진행해 최종 탄핵 여부를 판단합니다.<br /><br />상원마저 탄핵안을 가결하면 이후 별도의 공직 취임 금지 표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생명은 사실상 끝날 공산이 큽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상원 의석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공화당에서 탄핵에 동조하는 의원이 대거 나와야 하기 때문에 현재로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순 없습니다.<br /><br />상원은 하원과 달리 3분의 2 찬성이 필요해 공화당에서 최소 17명, 3분의 1이 반란표를 던져야 합니다.<br /><br />작년 초 첫 번째 탄핵 표결 당시에는 공화당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앙숙인 밋 롬니 의원 1명만 찬성표를 던졌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하원에서도 10명의 이탈표가 나왔던 만큼 상원에서도 찬성표가 더 나올 가능성이 있지만, 그 수가 3분의 1이나 될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현지 언론은 상원 원내대표 미치 매코널의 입장이 당내 분위기를 좌우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매코널 원내대표는 "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"고 밝혀 찬성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상원 심리가 진행될 때는 트럼프 대통령 임기가 끝나는 만큼 전직 대통령에 대해 탄핵 심판을 할 권한이 상원에 있느냐는 의문도 일각에선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상원 심리 과정에선 탄핵 심판의 적법성을 둘러싼 논쟁도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임주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