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올 한 해 정부 정책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일본 스가 총리가 노골적으로 한국을 홀대했습니다. <br> <br> 외교안보를 설명할 때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뒤에 맨 마지막으로 한국을 언급했습니다.<br> <br>도쿄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스가 총리는 시정연설에서 한일 관계 개선의 공을 한국에 넘겼습니다. <br> <br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총리] <br>"현재 양국의 관계는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.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강하게 요구하겠습니다. (옳소!)" <br><br>지난해 아베 총리가 말한 '기본 가치 공유', '미래 지향적 관계'등의 표현을 뺐고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크게 낮췄습니다. <br><br>외교 안보 분야에서 언급된 순서도 지난해는 북한 다음이었지만 올해는 맨 끝으로 밀려나 베트남, 인도네시아보다 뒤에 나왔습니다. <br><br>외교적으로 신중해야할 일본 외상은 8년 째 독도 망언을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[모테기 도시미쓰 / 일본 외상] <br>"(위안부 문제는) 도저히 생각지 못한 이상한 사태가 발생, 매우 유감입니다. 다케시마는 역사적 사실로도 일본 고유의 영토입니다." <br><br>한일 외교 소식통은 강제징용, 위안부 피해자 판결에 대한 항의를 담은 노골적 홀대라고 분석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 대응 실패 등으로 넉 달 전 70%를 넘던 스가 내각 지지율은 반토막이 났습니다. <br><br>[김범석 특파원] <br>스가 총리가 추락한 지지율을 회복하려고 한국 때리기에 나설 것이란 예상이 나옵니다. <br> <br>하지만, 극우층에 기댄 정치적 입지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분석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