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학개미 공세에 입장 바뀐 금융위…공매도 금지 더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3월 중순까지 금지된 주식시장의 공매도 재개를 놓고 논란이 뜨겁습니다.<br /><br />예정대로 재개하겠다고 거듭 밝히던 금융당국이 계속 금지하라는 개인투자자들과 정치권의 요구에 말이 조금 달라졌는데요.<br /><br />주식 양도세에 이어 또다시 '동학 개미'가 이길지 조성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공매도란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주식을 빌려 판 뒤, 실제로 주가가 떨어지면 싼값에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고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예상과 달리 주가가 올라 손해를 보거나 빌린 주식만큼, 되사지 못할 위험도 큽니다.<br /><br />다만, 상승 전망과 하락 전망 간 힘겨루기를 통해 시장의 과열을 막고 시장이 하락해도 돈 벌 기회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, 하락장에선 증시 폭락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인데, 지난해 3월 코로나19 사태로 코스피가 1,400대까지 추락하자 당국이 공매도의 한시적 금지를 결정한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연장된 금지 기한은 오는 3월 15일.<br /><br />그런데 개인 투자자들은 공매도 재개를 강력히 반대합니다.<br /><br />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에게만 유리한 제도라는 겁니다.<br /><br /> "(개인 투자자와 기관·외국인의) 승패에 미치는 영향 중에 가장 큰 게 공매도인데요. 공매도는 1년 동안 금지 후에 제도를 대폭 수술하고 (재개)하든지 폐지하던지가 답입니다."<br /><br />금융위원회는 최근까지도 "3월 15일 예정대로 공매도 금지가 종료될 예정"이란 입장을 고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은성수 위원장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며 입장을 바꿨습니다.<br /><br />700만 동학 개미의 반대 움직임에 표밭을 의식한 정치권까지 가세한 탓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사의까지 부른 주식 양도세 부과 대주주 기준 인하 실패의 전철을 밟을지 지금 시장 안팎이 주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