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국에 있는 부동산 중개업소가 11만 개, 공인중개사는 무려 46만 명으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부동산 활황 덕분이겠죠. <br> <br>하지만 소비자 불만이 가장 많은 중개 수수료는 조정이 잘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한 아파트 단지 상가. <br> <br>1층을 점령한 건 부동산 중개업소입니다. <br> <br>지난 한 해 동안 폐업한 공인중개사무소는 1만여 곳으로 18년 만에 가장 적었습니다. <br><br>지난해 전국의 공인 중개사무소는 11만 개, 공인 중개 자격증을 가진 사람도 46만 명으로 역대 최대입니다.<br><br>마포의 59제곱미터 아파트. 지난해 12월 기준 실거래가는 15억1천 만원, 전세는 7억 7천만 원입니다. <br> <br>상한요율에 따라 매매 계약 때는 많게는 1359만 원, 전세는 616만 원을 매수자와 매도자에게 각각 중개 보수로 받을 수 있습니다.<br><br>최근 국민권익위원회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53%가 부동산 중개보수가 비싸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공인중개사도 할 말은 있습니다. <br> <br>[마포구 A공인중개사] <br>"현장에서 (중개보수 상한) 0.9% 제시하면 누가 주겠어요. 0.5~0.7% 선에서 왔다 갔다 하지." <br> <br>또 상한요율 내에서 "협의하라"는 애매한 지침을 문제 삼기도 합니다. <br> <br>[마포구 B공인중개사] <br>"(실거래가) 7억 원이면 (중개보수) 얼마, 딱 정해놓으면 되는데 협의하라고 하면 어려워요." <br> <br>지난해 8월 국토부는 중개보수 수수료율을 합리적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지만 복잡한 이해관계로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국토부는 다음 달 국민권익위가 개편안 권고를 하면 이를 토대로 실태조사를 한 뒤 수수료율을 손보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이런 논란에도 돈이 된다는 생각에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는 역대 최고로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임채언 <br>영상편집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