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부산에서는 외국 선박에서 집단 감염이 잇따라 확인되면서 항만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온 국민을 긴장시키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항에서는 개인 방역 수칙과 항만 검역 강화 등으로 대응해 현재는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부산항 외국 선박 집단 감염 사태의 성과와 문제점을 김종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하역 작업 중인 러시아 선박입니다. <br /> <br />갑판에 올라 물량을 점검하는 사람은 우리 노동자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선박 집단 감염이 잇따라 확인됐던 부산 감천항. <br /> <br />시작은 지난해 6월 22일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냉동 운반선 아이스스트림호에서 승선원 21명 가운데 16명이 한꺼번에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아이스스트림호를 포함해 부산에서는 지난해에만 외국 선박 49척에서 확진 환자 288명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아직 집단 감염이 없지만, 외국인 선원 확진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어서 우리 하역 노동자를 위협하는 감염 위험은 여전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달라진 게 있다면 '방역 수칙을 철저히 따르면 자신을 지키고 나아가 산업을 지킬 수 있다'는 자신감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선원을 밀접 접촉하는 일이 다반사인 부산항운노조 감천지부에서는 이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확진 환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정상식 / 부산항운노조 감천지부 : 예전보다는 조금 마음이 편한 부분이 있지만, 아직 흐름 자체가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저희 자체적으로 마스크 착용이라든지 거리 두기 이런 부분을 실천하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외국인 선원 집단 감염은 우리 항만 검역에도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. <br /> <br />전자검역의 허점이 드러나면서 뚫려서는 안 되는 우리 항만을 어떻게 지켜야 할지 본격적인 고민이 시작돼 인력과 체계를 갖추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인기 / 국립부산검역소장 : 선제 검사를 하게 되면서 그런 부분들은,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전부 다 제도적으로 막았다는….] <br /> <br />3차 대유행으로 병상이 부족해지면서 한때 환자가 나온 외국 선박을 돌려보내는 일도 있었지만, 최근에는 다시 병상을 배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에서만 외국인 선원 확진 환자 205명을 무상으로 치료하는 등 전 세계적인 위기에서도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멈추지 않았다는 점도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외국 선박에 오른 우리 노동자를 통해 새로운 유전자형의 바이러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12301503499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