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농작물 국산화율 상승…해외 로열티 지급액 '뚝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동안 딸기나 장미, 난 등 주요 원예작물은 국내 품종이 없어 외국에 거액의 로열티를 지급하고 재배해야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국내에서 육성한 우수 품종들이 속속 나오면서 로열티 지급액이 대폭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강창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한 농장입니다.<br /><br />공장처럼 꾸며진 넓은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색상의 버섯이 자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검은색부터 흰색, 노란색에 이르기까지 기존에 없던 품종들입니다.<br /><br />그동안 느타리버섯은 외국품종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국내에서 육성된 우수 품종들이 대거 출시되면서 로열티 부담도 덜었습니다.<br /><br /> "품질이 우수하고 재배하기도 아주 쉽습니다. 무엇보다도 해외에 주는 로얄티가 없어서 농가 소득에는 아주 많은 도움이 됩니다."<br /><br />당도가 높고 산도가 적당해 새콤달콤한 맛이 특징인 국산 딸기 설향입니다.<br /><br />10년 전까지만 해도 국산 딸기는 일본산에 밀려 품종보급률이 10%도 안 됐지만, 지금은 96%에 달합니다.<br /><br />크리스마스 꽃으로 알려진 포인세티아는 다양한 품종 개발로 국산화율이 10%대에서 40%대로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이밖에 외국산이 대부분이었던 장미나 국화, 키위 등의 품종 역시 국산 품종보급률이 대폭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생산자, 소비자가 요구하는 맞춤형 품종을 육성하고 시장 수요가 높은 품종을 중심으로 국산품종 보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."<br /><br />이처럼 국산 품종개발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외국에 지불하던 로열티는 연간 175억 원에서 90억 원대로 대폭 줄어든 반면 외국에서 벌어들인 로열티는 20억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창구입니다. (kcg33169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