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사태로 막혔던 설악산, 자연빙벽장이 문을 열었습니다. <br><br>방역수칙 말고도 지켜야 할 게 또 있는데요. <br><br>강경모 기자가 현장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높이 50미터 폭포가 거대한 얼음절벽으로 변했습니다. <br> <br>손으로 얼음을 찍고 한발 한발 조심스레 빙벽을 오릅니다. <br><br>"아이젠으로 딛는 소리" <br> <br>한파로 설악산 내 폭포가 얼어붙으면서 빙벽 훈련이 허용되자 모여든 산악인들입니다. <br> <br>코로나19 여파로 빙벽장 개장은 보름 이상 늦춰졌고, 감염을 막기 위해 폭포 7곳중 4곳만 문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하루 훈련 인원도 정원의 50%로 줄였고 마스크 착용도 필수입니다. <br> <br>[조영빈 / 충북 청주시] <br>"2년 만에 찾아왔거든요. 저희도 등반을 하면서도 방역수칙을 잘 지키면서 등반을 하려고 합니다." <br> <br>방역수칙 만큼 안전사고도 주의해야 합니다. <br><br>최근 3년간 설악산에서만 7건의 사고로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습니다. <br> <br>특히 매서운 추위와 포근한 날씨가 반복되는 요즘엔 위에서 떨어지는 얼음 조각인 낙빙을 조심해야 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낙! (낙!)" <br> <br>[강경모 기자] <br>"빙벽장 주변에는 이런 얼음 덩어리들이 자주 떨어지는데요. 등반객들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." <br> <br>[방경모 / 강원소방본부 산악구조대] <br>"등반자가 낙빙을 발생시키면 즉시 하단에 위험성을 알려야 하고 하단 등반자는 얼음벽에 붙어서 피해야 합니다." <br> <br>전문가들은 안전한 빙벽 등반을 위해, 본인 실력에 맞는 장소를 선택하고 안전 장비를 꼼꼼하게 갖출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kkm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민석 <br>영상편집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