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, 동맹 복원 시동…중·러와는 초반부터 긴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각국 정상과 통화를 본격화하며 동맹 복원 행보에 시동을 걸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중국, 러시아와는 대립각을 세우며 임기 초반 기싸움을 벌이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워싱턴에서 류지복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국경을 맞댄 캐나다, 멕시코를 시작으로 동맹국 정상과 통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,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유럽, 한국, 일본 등 카운터파트와 전화외교로 관계 구축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취임 직후 동맹과의 통화는 자연스러운 일이지만, 바이든 행정부의 각오는 남달라 보입니다.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'미국 우선주의'로 훼손된 전통적 동맹관계 복원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중국, 러시아와는 초반부터 충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경우 지난 주말 중국 폭격기와 전투기가 대만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하고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남중국해에서 훈련을 하는 등 무력시위 대결까지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백악관은 시진핑 주석이 다보스 어젠다 연설에서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다자주의를 역설한 것에도 선을 그으며 "중국과는 심각한 전략경쟁을 벌이고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는 푸틴 대통령의 정적 알렉세이 나발니의 석방 시위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시위 지지를 표명하자 러시아는 내정 간섭이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러시아가 배후로 지목된 여러 사건에 대해서도 조사 의지를 밝혔는데 러시아에 저자세를 보였다는 지적을 받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단절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 "바이든 대통령은 정보 당국이 미 연방기관의 대규모 해킹 피해, 러시아의 2020년 선거 간섭, 나발니 독살 시도,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살해 사주 의혹에 관한 조사에 착수하도록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일각에선 바이든 정부가 조기에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타임스는 "중국과 러시아가 미국의 동맹과 가치를 지키려는 바이든 행정부의 결단을 시험하기 위해 시간을 지체하지 않았다"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류지복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