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인권위 조사 결과에는 서울시 비서실의 문제점도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서울시도 6개월만에 사과했는데, 역시 직접 사과가 아니라 보도자료 형태였습니다. <br> <br>A4용지 한 장 반 쪽이었는데 구체적인 개선책은 없었습니다.<br> <br>이어서 이민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시는 오늘 오후 A4용지 한장 반쪽짜리 입장문을 냈습니다. <br><br>"인권위의 조사 결과를 반성과 성찰의 자세로 받아들이겠다"며 "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을 시행하겠다"고 했습니다. <br><br>서울시는 2년 전 여성 평등을 외치며 젠더특보를 만들었고 성평등 정책에 공을 들였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그것 뿐이었습니다. <br> <br>고 박원순 전 시장의 죽음 앞에서, 피해자 보호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[오성규/ 전 서울시 비서실장(지난해 8월 17일)] <br>"피해자 중심주의라는 것은 중심적으로 판단하고 주의 깊게 봐라. 그게 (피해자 말이) 절대적으로 진리라는 뜻은 아닌 (겁니다.)" <br> <br>지난해 12월, 경찰이 성추행 사건을 '공소권 없음'으로 종결하자 전직 서울시 직원들은 피해자를 향한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인권위 조사 결과, 서울시는 관행적으로 20~30대 신입 여성직원을 시장 비서로 배치했습니다. <br> <br>피해자 측은 서울시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강조합니다. <br> <br>[김재련 /피해자 측 변호인] <br>"기관장 이런 분들이 업무를 함에 있어서 공적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사적 노무를 굉장히 많이 하도록 분위기가 돼 있습니다. <br> <br>성평등 시스템을 만들어놓고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서울시. <br> <br>한장 반쪽짜리 사과문에는 무엇을 어떻게 바꾸겠다는 구체적 내용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 <br> <br>2minjun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