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그렇다면 어디 가서 어떻게 맞을 수 있는지 궁금하시죠. <br> <br>독감 예방 주사 맞을 때와는 상당히 다른데요. <br> <br>사전 예약도 해야합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가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코로나19 백신은 독감과 달리 백신의 선택권이 없습니다. <br> <br>의학적 우선순위에 따라 정해진 기간에 정해진 장소에서 백신을 맞아야 하는데요. <br><br>우선 정부가 접종대상자에게 문자나 전화를 통해 접종 장소와 기간을 안내합니다. <br> <br>영하의 온도에서 보관해야 하는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은 예방접종센터로 상온 보관이 가능한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백신은 일반 의료기관으로 가서 접종하게 되는데요.<br> <br>안내 받은 기간이라고 아무때나 갈 수 있는 건 아닙니다. <br> <br>미리 방문 시간을 인터넷 홈페이지나 전화, 방문을 통해 사전에 예약해야 합니다. <br><br>접종은 크게 세 단계로 진행됩니다. <br> <br>먼저 코로나19 백신을 맞아도 괜찮은지 확인하기 위한 예진이 진행됩니다. <br> <br>평소 알레르기 반응은 없는지,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는지 등을 적고, 의사 진찰을 받습니다. <br> <br>의사가 접종에 문제 없다고 판단하면 간호사가 접종을 하는데요, <br> <br>접종을 끝낸 대상자는 15분에서 30분을 대기하면서 접종 부위에 국소적인 발진이나 통증 등은 없는지 아나필락시스를 의심할 만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지는 않는지 살펴보게 됩니다. <br> <br>1회 접종을 하는 얀센 백신을 제외하면, 3주 뒤 다시 한번 정부의 안내에 따라 2차 접종까지 마쳐야 백신 접종이 완료됩니다.<br> <br>아무 연락 없이 기간 안에 접종을 하지 않으면 접종 순서는 마지막으로 미뤄지는데요, <br> <br>다만 접종 당일 37.5도 이상의 고열이 있는 경우 예약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국내에 입국한 재외 국민에 대해서도 우리 국민에게 적용된 순서를 적용해 예방접종을 실시할 계획이구요, <br> <br>코로나 19에 걸렸다가 완치된 사람도 대상자에 포함했습니다. <br> <br>다만, 완치판정 90일 후에 접종하는 게 안전합니다. <br><br>해외에서 백신 접종 후 고령자들이 사망하는 등의 사례들이 보고되는 등 안전성 우려도 여전한데요, <br> <br>방역당국은 인과관계가 분명히 드러난 부작용은 없다며 집단 면역을 위해 접종에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당부했습니다. <br><br>백신 부작용이 인정되는 경우 국가가 진료비, 치료비 등 보상금을 지급하게 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