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"전작권, 조건 완전충족시 전환…시점 약속하면 병력 위험해져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욱 국방장관이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진전된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전작권 전환 연도에 대해 합의를 이루겠다는 의지 표명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었죠.<br /><br />이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, 미 국방부 입장이 처음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서욱 국방장관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해 임기 내 진전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, 미국 국방부는 조건에 기초한 전환 원칙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 국방부는 연합뉴스의 서면 질의에 "전작권은 상호 합의한 조건이 완전히 충족될 때 전환될 것"이라며 이는 "미국과 한국이 상호 동의한 것일 뿐만 아니라 병력과 인력, 지역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도 필요하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어 "특정한 시점에 대한 약속은 우리의 병력과 인력을 위험에 빠뜨릴 것"이라며 "병력과 인력, 지역의 안보를 보장하는 것은 단순히 한미연합사령부의 지휘부를 바꾸는 것보다 더 복잡하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서 장관이 기자간담회에서 재임 기간에 전작권 전환을 위한 진전된 성과를 내겠다고 밝히면서, 현 정부 임기 내 전작권 전환 연도에 대해 미국과 합의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미국 측은 조건의 충족이라는 원칙을 강조함과 동시에, 특정한 전환 시점을 못박는 것에도 부정적 입장을 내비친 겁니다.<br /><br />일단 서 장관은 관련 논의를 위해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에게 최대한 이른 시일에 회담을 하자고 제안한 상황.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가 전작권 전환 관련 첫 공식 입장에서 한국 측과는 다소 다른 분위기의 입장을 보이면서 앞으로의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. (hapyr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