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월성 원전 1호기조기 폐쇄에 대해 청와대와 산업부가 수차례 긴밀하게 협의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심지어 한수원이 조기 폐쇄를 결정하기도 전에 산업부가, 곧 폐쇄될 거라고 청와대에 보고한 정황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감사원이 감사에 착수하자 산업부는 이 보고 문건을 삭제했는데요. <br> <br>윗선 개입 의혹은 더 커졌습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검찰은 지난달 산업부 공무원 3명을 재판에 넘기면서 산업부가 감사원 감사에 대비해 삭제한 530개 문건 목록을 첨부했습니다. <br> <br>산업부가 삭제한 자료 중에는 청와대 보고용 문건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2018년 5월 23일엔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가 월성 원전 1호기 조기폐쇄를 결정할 것이라는 걸 청와대에 보고한 정황도 있습니다. <br> <br>이사회가 열리기 3주 전 산업부 내부에서 이미 조기폐쇄 결론을 내고 청와대에 보고한 것으로 보이는 부분입니다. <br><br>이사회 개최를 앞둔 6월에는 청와대 보고용 문건이 7개나 작성됐습니다. <br><br>보고서에는 "월성 1호기 직원들의 고용보장을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과 협의했다"는 내용이 담기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당시 산업정책비서관은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입니다. <br> <br>검찰은 청와대와의 의견교환 흔적을 지우려고 산업부 공무원들이 자료를 삭제한 걸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재형 / 감사원장(지난해 10월, 국정감사)] <br>"이렇게 감사 저항이 심한 감사는 제가 재임한 동안에 처음 있는 겁니다." <br> <br>산업부가 삭제한 문건 중에는 북한에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는 내용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조만간 채희봉 사장을 불러 조사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 <br>elephant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