中 견제하는 美, 한일관계 개선 역할 주목…"한미일 공조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가 한일 관계와 관련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시그널을 연이어 보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미측이 최대 과제로 삼는 중국 견제와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"한미일 삼각공조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."<br /><br />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지난 27일 한일 카운터파트와 통화를 하며 동일하게 강조한 말입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는 통화 결과를 담은 서면 브리핑에 이 내용을 포함하며 한일관계가 자신들의 관심사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미일 정상간 통화에서는 과거사 이슈가 다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, 강제징용과 위안부와 관련한 논의가 오갔다고 일본 현지언론은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미측의 이러한 '관심 표명'을 놓고, 한일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시그널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특히 중국 견제를 최대 외교안보 과제로 삼는 상황에서,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한일의 균열은 역내 전략에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중국의 부상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전략화를 모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차원에서 한미일 안보협력이 중요할 수밖에 없고, 한일간의 악화된 관계가 한미일 안보협력을 저해해서는 안된다는 인식이 매우 강한 상황입니다."<br /><br />실제 미국의 한 싱크탱크가 공개한 보고서에도 미측의 이런 인식이 반영돼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전직 고위 당국자가 익명으로 기고한 이 보고서는 "한국이 계속해서 중국의 방향으로 표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한일 관계의 정상화가 필요하다"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또한 바이든 행정부는 북핵 문제에 대해서도 한국뿐 아니라 일본과도 긴밀히 논의 하겠다는 입장인데, 이런 인식이 최악 국면의 한일 관계에 어떻게 작용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