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월성 원전 1호기 경제성 조작 의혹이 불거지고 감사원 감사 대상에 오르면서 산업부 직원들이 자료를 무단 삭제했던 일이 알려졌죠. <br> <br>이 자료 중 북한 원전 건설과 관련된 문건이 포함돼 파장이 거셉니다.<br> <br>검찰은 북한 관련 문건을 모두 복구해서 갖고 있는 상탭니다.<br> <br>상식적으로 일선 공무원들이 알아서 작성하고 대담하게 삭제까지 했다고는,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.<br> <br>심지어 감사원이 감사할 자료도 아닌데 지워버린 겁니다.<br> <br>왜 누가 만들고, 왜 굳이 삭제했나, 이 모든 과정을 누가 지시했나, 의문점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.<br> <br>이은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산업부 공무원들이 감사원 감사를 앞두고 삭제한 북한 관련 문건은 모두 17개로, 중복된 걸 제외하면 13개입니다. <br> <br>당시 감사원의 감사 대상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의 타당성이었습니다. <br> <br>산업부가 경제성 조작에 관여했는지만 확인한 겁니다. <br> <br>[최재형/ 감사원장(지난해 11월, 국회 법사위) <br>"(이번 감사는) 월성 1호기 조기 폐쇄, 즉시 가동 중단에 국한된 감사란 점 분명히 말씀드리고요." <br> <br>북한 관련 문건은 감사 대상이 아니었는데 삭제할 필요가 있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<br>산업부는 어제 "삭제된 문건은 남북경협 활성화에 대비해 아이디어 차원에서 검토한 내부 자료"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법조계 안팎에서는 "북한 원전 건설은 실무자 선에서 검토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"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"문건 작성에 청와대 등 윗선의 지시가 있었는지 밝혀야 한다"는 주장도 있습니다.<br><br>한 법조계 관계자는 "원전 기술을 외부로 유출하는 등 범죄 정황이 없으면 검찰이 수사에 나서긴 힘들 수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원전 의혹을 수사중인 대전지검 수사팀은 삭제된 북한 관련 파일을 모두 복구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대전지검은 "북한 관련 파일의 삭제 경위는 알지 못한다"며 조심스러운 반응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 <br>elephant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상 <br>영상편집 : 김미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