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번엔 코로나 때문에 여행업계가 어느 정도로 힘든지 한 눈에 알 수 있는 장면 보실텐데요.<br> <br>5인 이상 모일 수 없으니 단체 여행은 상상할 수도 없는 상황이죠.<br> <br> 관광버스 기사들은 번호판마저 떼 버렸습니다.<br><br> 장하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주차장에 대형 전세버스 수십대가 주차돼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번호판이 있어야 할 자리가 텅 비어 있습니다. <br> <br>[장하얀 / 기자] <br>"주차장에는 이렇게 번호판이 없는 관광버스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버스 기사들이 유지비를 아끼려고 자발적으로 구청에 반납한 겁니다." <br> <br>코로나19 여파로 여행과 단체 모임이 줄면서 16인승 이상 전세버스는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입니다. <br> <br>영업을 못해도 월 보험료 18만원 등 연간 200만원이 넘는 유지비가 들어가니 기사들은 결국 번호판을 떼고 휴업을 신청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병철 / 전국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] <br>"번호판을 떼서 반납할 때는 가슴이 쓰라리죠. 5인 이상 모임 자체를 하지 말라고 하니까 저희 같은 경우는 직격탄을 맞은 겁니다." <br><br>휴업 건수는 2019년 643건에서 지난해 2만 1224건으로 33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> <br>전국 전세버스 절반 가량이 휴업 상태인 겁니다.<br> <br>지자체들도 전세버스 기사의 안타까운 상황을 감안해 휴업 신청을 해도 영업을 재개한다고 하면 언제든지 번호판을 돌려줍니다. <br> <br>[서울시 관계자] <br>"3개월 휴업 신청했는데 중간에 일감 생길 수 있잖아요. 그런 경우는 바로 운행신고하면. 바로 받을 수 있죠." <br> <br>전세버스 기사들은 정부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빠져있어 어려움을 고스란히 감당하고 있다며 형평성에 맞춘 지원 방안도 고려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 <br>jwhi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락균 이영재 <br>영상편집: 변은민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