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예술가의 아내'만큼 힘든 위치가 또 있을까요? <br /> <br />우리 예술계 거장의 뒤에는 꿋꿋이 버팀목이 된 아내들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거장이 그린 아내의 모습을 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 김기창, 1960년대,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<br /> <br />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으로 옮긴 박래현전에는 새로 걸린 그림 한 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화가 난 부엉이들이 도깨비처럼 보입니다. <br /> <br />남편인 김기창이 아내 박래현을 그린 겁니다. <br /> <br />박래현은 낮엔 청각장애를 가진 남편과 네 아이를 뒷바라지하고, 집안일을 끝낸 뒤 밤에야 자신의 작업에 몰두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남편은 아내를 부엉이라고 불렀습니다. <br /> <br />[이효진 /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: 늘 고단했고 깨어있을 수밖에 없어 예민했던 박래현에 대한 예리하면서도 애정 어린 시선을 담은 독특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, 김환기, 1955년, 환기미술관 제공 <br /> <br />동화 속 공주처럼 신비로운 여인, 김환기가 그린 아내 김향안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파리로 가 기반을 잡던 김향안을 그리며 보낸 편지에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두 사람은 인생과 예술의 절대적인 공동체였습니다. <br /> <br /> 장욱진, 1970년, 장욱진미술문화재단 제공 <br /> <br />간결한 선과 담백한 색의 보살, 장욱진이 본 아내의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남편을 대신해 생계를 꾸린 아내가 불경을 읽던 모습을 본 뒤 식음을 전폐하다시피 하면서 그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림을 완성하고 크게 아팠던 남편, 마음이 편치 않았던 아내는 그림을 떠나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은정 / 고려대 디자인조형학부 교수 : 잘해주고 싶은 대상이기도 하고 타인이기도 한, 양면성이 있는 것을 우리는 느낄 수 있습니다. 보살 같은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을 그들의 화면에서 볼 수 있죠.] <br /> <br /> 권진규, 1951년, 권진규기념사업회 제공 <br /> <br />천재 조각가 권진규가 일본 유학 시절 같은 학교 후배 오기노 도모를 모델로 만든 첫 작품입니다. <br /> <br />두 사람은 결혼했지만, 한일 국교정상화 이전 상황에서 결국 어쩔 수 없는 이별을 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 권진규, 1967년 권진규, 1968년 <br /> <br />도모는 권진규가 마지막 순간까지 그리워했던 연인이자 동료였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[se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013122451299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