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서정협 / 서울시장 권한대행] <br />서울시는 설 명절 전으로 총 1조 4852억 원을 투입해 민생경제 5대 대책을 가동합니다. 올해 초 8000억 저리 융자에 이은 두 번째 민생경제대책입니다. 가장 지원이 절실한 곳에 직접적인 온기를 불어넣어 가혹했던 겨울을 지나 희망의 봄을 열어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한정된 재원으로 코로나 재난 타격을 가장 먼저, 가장 많이, 가장 깊게 입은 거리두기 직접 피해업종과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지원, 정부지원 사각지대의 보완에 역점을 두었습니다. <br /> <br />첫째, 생존을 위해 하루하루 사투를 벌이고 있는 소상공인, 자영업자들이 벼랑 끝에서 무너지지 않도록 소상공인 긴급자금 1조 원을 추가 투입합니다. <br /> <br />집합금지와 영업제한 등으로 피해를 입은 업종뿐 아니라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관광, 공연, 예술 업계, 매출이 급감한 소상공인까지 두텁게 한도 심사 없이 최대 2000만 원까지 저금리 융자를 지원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올 1월 지원을 시작한 8000억 원이 한 달 만에 소진될 만큼 현장의 요구는 절실합니다. 서울시는 임대료, 인건비 등 당장의 고정비용 부담을 덜어드리도록 신속성에 방점을 두고 지원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1월 말 기준 2만 명 가까이 지원을 받은 데 이어 약 5만여 명이 추가로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둘째, 업소도 어렵지만 종사자도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무급휴직이 실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현장의 수요와 요구가 지속되고 있는 고용유지지원금을 1만 명에게 지원합니다. 총 150억을 투입해 3개월간 최대 150만 원을 지원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작년 추경을 통해 2개월간 100만 원을 지원했다면 이번에는 재난기금을 활용해 100% 시비로 지원하고 개인당 지원 규모를 늘였습니다. 선지급 후검증을 원칙으로 적시에 지원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원대상자는 집합금지 대상 피해업종 근로자를 우선 선정하되, 작년 고용유지지원금 수혜자도 포함시켜 지원이 꼭 필요한 분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겠습니다. 셋째는 고사 위기를 넘어 생태계 붕괴를 걱정하고 있는 관광, 공연, 예술 업계에 대해서는 별도의 긴급지원대책을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코로나로 가동이 멈추면서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관광 업계에서는 융자 지원, 고용유지 지원금 이외에도 업체당 100만 원의 긴급생존자금을 3월 중 현금으로 지급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 3차 재난지원금 대상에 5인 이상 규모 소기업이 제외되어 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1020211143804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