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7월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난이 심화하면서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4억 원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강남 등 일부 지역에는 매물이 늘고 있지만, 서울 외곽과 경기 지역으로 여전히 수요가 몰리며 전셋값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인천 연수구 송도신도시에 있는 대단지 신축 아파트입니다. <br /> <br />이 아파트 전용면적 84㎡ 전세는 5억 원 이상에 계약되고 있는데, 불과 반년 만에 1억5천만 원 정도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을 비롯한 경기 곳곳까지 전세난이 이어지면서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4억 원을 처음 돌파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지난 2011년 6월 이후 10년 만에 최고 가격을 경신한 겁니다. <br /> <br />2년 전 3억 천8백여만 원에서 1년 동안 불과 4백여만 원 오르는 데 그쳤지만, 지난해 오름폭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3억에서 3억5천만 원까지 오르는데 3년 10개월이 걸렸지만, 4억 원까지 오르는 데 걸린 시간은 4개월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셋값이 비싼 서울 중심부를 벗어나 서울 외곽과 경기, 인천으로 이주하는 세입자가 늘면서 전셋값이 동반 상승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지난해 8월 본격 시행된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는 세입자가 늘면서 전세 매물이 급감한 것을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전·월세 상한제 여파로 집주인들이 새로 계약을 할 때는 4년 치 보증금을 미리 올려 받으려 한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: 일부 지역에서 전세 매물 적체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고 재계약이 늘면서 매물 잠김 현상도 지속되고 있어서 봄 전세 시장은 여전히 불안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.] <br /> <br />정부가 25번째 부동산 대책을 준비하고 있지만, 실제 공급이 이뤄지려면 시간이 걸리는 만큼 올봄 이사철에도 전세 불안은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신윤정[yjshine@ytn.co.kr]입니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20218355312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