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산업부가 문건을 공개했는데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는데요. 말끔히 풀리지 않은 의혹들을 정치부 이현수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<br> <br>[질문]이 문건 자체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 있다면서요? <br> <br>산업부가 공개한 문건이 바로 이 것입니다. <br> <br>'북한지역 원전건설 추진방안'이란 제목 바로 아래에 내부 검토자료로 정부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쓰여있습니다. <br> <br>문서 양식이 낯설어서 공무원들에게 알아봤는데요. <br> <br>부처마다 표현은 조금씩 다르지만 내부에서만 공유할 보고서인 경우 사용되는 문구라고 합니다. <br> <br>다만, '내부검토용'이라고 명시하는 것 자체가 외부에 공개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> <br>[질문]문서 17개 중 한 개만 공개하다보니, 나머지에는 뭐가 있었냐도 궁금해요. <br> <br>북한원전 관련 자료 17개 중에서 2018년 5월에 새로 생성된 파일은 5건입니다. <br> <br>그 중 복구가 된 건 산업부가 공개한 문건 버전 1.1 하나이고요. <br> <br>산업부는 다른 파일들이 복구가 됐는지 존재 여부도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]당시 남북 정상회담 즈음에 정부 기관 곳곳이 북한 내 전력공급에 대한 검토를 했었나보죠? <br> <br>산업부 문건이 만들어진 게 2018년 5월인데요. <br> <br>비슷한 시기에 한국전력의 자회사인 동서발전도 '발전분야 대북협력사업' 문건을 만들었습니다. <br> <br>내용 중에는 비무장지대, DMZ 내에 발전소를 건설한다는 게 있는데, DMZ에 원전을 지을 수 있다는 <br>산업부 문건과도 유사한 대목이죠. <br> <br>가스공사도 2018년 12월 보고서에서 '원전이 연료비와 운영비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북한의 자주경제 표방에 적합한 에너지원'이라고 분석한 부분이 있습니다. <br> <br>이 모든 검토들이 시기적으로 2018년 4월 27일 1차 남북정상회담과 5월 26일 2차 정상회담이 사이 5월 중에 이뤄진 것들입니다.<br> <br>2018년 5월에 북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에 대한 많은 검토가 이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]정의용 외교부장관 후보자까지 기자들에게 먼저 만나자고 요청해서 USB에 담긴 내용을 일부 언급했더라고요. <br> <br>볼튼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김정은 위원장에게 준 USB와 같은 USB를 줬다고 했는데요. <br> <br>신재생에너지 분야 협력, 북한의 수력 화력 발전 개선 등이 담겼다면서, <br> <br>원전 건설 같은 민감한 내용은 없었다는 취지로 설명한겁니다. <br> <br>[질문]정부는 의혹을 해소하겠다고 산업부 문건을 공개했는데, 야당은 그것 가지고는 부족하다. 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있거든요. 핵심은 뭡니까? <br> <br>누구의 지시인지, 어디까지 보고됐는지, <br> <br>야권은 원전 건설 계획이 담긴 산업부 문건에 대한 지시와 보고의 '연결고리'에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 2018년 5월로 돌아가보면, 4월 27일 1차 남북정상회담 직후에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각 부처에 '아이디어를 공유해달라'고 요청을 하는데요.<br> <br>통일부는 "주무부처로 아이디어를 공유해달라고 한 건 맞지만 원전 자료는 받은 적은 없다"고 선을 그었습니다.<br> <br>야권에서는 제대로 조사를 해보자며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있는 상태입니다. <br><br>[앵커]지금까지 정치부 이현수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