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역사회 파고든 '변이'…"4차 유행 올 수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새해 들어 코로나19 3차 대유행 기세가 한풀 꺾이나 싶더니 다시 곳곳에서 산발적 감염이 일어나고 있죠.<br /><br />특히 전파력이 센 변이 바이러스의 지역 집단감염으로 처음 확인됐는데요.<br /><br />방역당국은 4차 유행 가능성까지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1주간 코로나19 평균 국내 발생은 376명, 1월 초 이후 줄곧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2일 433명, 3일 429명으로 다시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활동을 많이 하는 사회생활을 하는 분들이 감염을 많이 시키기 때문에 수도권에서 감염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죠. 최근에 노숙자라든지 고시원 등 집단감염이 많이 나오고 있거든요. 그만큼 지역사회 곳곳에서 감염이 유지가 되고 있고…."<br /><br />방역당국이 우려하는 재확산의 큰 위험 요인은 전파력이 센 변이 바이러스입니다.<br /><br />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39명, 방역당국은 이 변이 바이러스가 3~4월 4차 유행을 불러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공식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 "똑같은 거리두기를 통해서 대응을 하더라도 기초재생산지수 자체가 영국발 변이만 하더라도 상당한 수치가 올라가는 측면이…."<br /><br />특히, 변이 바이러스 첫 집단감염이 시리아 출신 거주자에서 발생하자 입국자 관리 강화 방안을 고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변이바이러스 확진자 주변인에 대한 선제적 검사와 중동발 해외유입 사례 분석 확대는 물론, 해외 입국자 임시생활시설 확대도 거론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이와 함께 조만간 발표 예정인 거리두기 재조정 역시, 확진자 감소세가 정체기에 접어든 점을 고려할 방침이어서 재조정을 연기하거나 조정폭을 축소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