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인류 반격의 서막을 여는 백신접종을 시작한 나라는 70개국에 이릅니다. <br> <br>접종 횟수도 1억 회분을 넘어서서 누적 확진자보다 더 많아졌는데요. <br> <br>아쉽게도 우리나라는 아직 접종을 시작도 못했죠. <br> <br>엎친데 덮친 격으로 불안한 소식이 들려왔습니다. <br> <br>노인에게 효능이 있다, 없다로 논란이 있었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 식약처 자문기구가 “65세 이상은 접종을 신중해야 한다“는 권고를 했습니다. <br> <br>당장, 이번 달부터 요양병원 고령층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시작하려고 했는데 이게 다 꼬여버렸는데요.<br><br>최종 결정을 해야 할 질병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현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식약처의 백신 허가 자문기구인 중앙약사심의위원회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고령층 접종에 대해 사실상 판단을 보류했습니다. <br><br>18세 이상에 대한 백신 접종을 허가하지만, "65세 이상의 접종 여부는 "신중하게 결정해야한다"고 권고한겁니다.<br> <br>[오일환 / 중앙약사심의위원장] <br>"효과에 대한 자료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라고 반영함으로써 추후 미국 등의 임상시험 결과분석 자료를 제출할 것을 권했습니다." <br><br>식약처가 효과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해외 임상시험 결과 8895건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660명으로 7.4%에 불과합니다.<br> <br>식약처 검증 자문은 세 단계에 걸쳐 이뤄지는데 나흘 전 1차 검증자문단은 "참여 대상자가 적다는 이유만으로 고령자 투여를 배제할 수 없다"고 자문했습니다. <br> <br>2차 자문기구인 중앙약심위는 5시간에 달하는 격론 끝에 다른 결론을 내린 겁니다. <br> <br>[오일환 / 중앙약사심의위원장] <br>"일부 유럽 국가에서도 다양한 의견을 보이는 현상을 감안해서 보다 다양한 각도의 검증을 거쳐서 충분한 논의를…" <br><br>현재 독일, 프랑스 등 유럽 각국이 고령층에 대한 접종을 제한하고 있고, 스위스는 백신 승인 자체를 보류했습니다.<br> <br>식약처는 조만간 최종점검위원회를 열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허가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또 허가 이후 실제로 고령층에게 접종을 할지 말지는 질병관리청이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하라고 공을 넘겼습니다. <br> <br>이 판단에 따라 올해 예정된 백신 접종 일정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현수입니다. <br><br>soo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