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금 옆에 보시는 것처럼 2월과 3월, 아스트라제네카 말고는 맞을 수 있는 백신이 화이자 백신 5만 8500명 분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이 화이자 백신은 원래 의료진들이 맞으려고 했었는데요. <br> <br>고령층의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이 제한된다면, 앞으로 접종 계획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? <br><br>황규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부는 당장 이달 말부터 코로나19 전담병원 의료진 5만 명과 요양병원 거주자 75만 명에 대한 접종을 시작합니다. <br> <br>의료진에게는 코백스 물량의 화이자 백신을, 요양병원 거주자들에게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할 예정인데 이번 자문단의 결론대로 아스트라제네카의 고령층 접종이 제한될 경우, 사실상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요양시설 거주자들에게 맞출 백신이 <br>없어집니다. <br><br>아스트라제네카 다음으로 도입이 확정된 백신은 모더나와 얀센.<br> <br>5월로 예정돼 있지만, 정확한 도입 물량과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.<br> <br>5월부터는 65세 고령층 850만 명에 대한 접종도 계획돼 있어 상반기에 집중된 고령층 접종이 줄줄이 차질을 빚게 될 우려가 높습니다. <br> <br>고령층 대신 요양시설 종사자나, 119대원, 역학조사관 같은 1차 대응요원 등을 먼저 맞추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상반기 물량 대부분이 아스트라제네카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, 고령층 접종 강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[이동희 /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원장] <br>"허가를 하기 위한 자문이 어제 있었던 것이고 허가 결정 여부는 한 단계가 더 있습니다. 최종점검위원회에서 거쳐서 허가를 결정할 것이라는 말씀을…" <br> <br>질병관리청은 감염병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를 통해 고령층 접종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