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정부가 '공급 쇼크'라고 말한 83만 가구 공급 대책 중에는 서울에 32만 3000가구를 만든다는 계획도 포함돼있습니다. <br> <br>현실화된다면 어마어마한 물량이죠. <br> <br>이에 앞서 정부는 서울 역세권 개발 제한도 풀어주겠다고 했는데, 서울역 쪽방촌 일대가 그 시범 대상으로 지목됐습니다. <br><br>이곳은 과거에도 재개발이 추진됐지만 원주민 이주문제 등 때문에 무산된 적이 있습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가 정부 계획의 현실성을 짚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역 11번 출구 인근 동자동입니다. <br><br>1960년 전국에서 상경한 도시 노동자들이 자리 잡은 곳으로 지금도 1천여 명이 살고 있습니다.<br> <br>방을 작게 쪼개어 놓은 30년도 넘은 집들이 몰려 있어 쪽방촌으로 불립니다. <br><br>“이곳 주민들은 대부분 2평 남짓한 쪽방에서 생활하고 있는데요, 정비사업을 거치게 되면 기존의 쪽방보다 2~3배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됩니다.<br> <br>정부가 먼저 이들을 임시 이주단지로 옮긴 뒤 건물을 헐고 공공주택을 짓습니다. <br> <br>완공 후 쪽방촌 거주자가 입주하면 나머지 땅을 개발해 민간주택을 짓는 방식입니다. <br><br>공공주택은 40층짜리 주상복합으로 17개 동이 들어섭니다. <br> <br>임대 1250가구를 포함해 전체 2410가구가 지어집니다.<br><br>[변창흠 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"주민 동의와 무관하게 공공주택이 긴급하게 필요한 지역에 대해 정부가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." <br> <br>개발에 걸림돌이던 쪽방촌을 정부가 강제 수용해 정비하면서 주변 민간 택지 개발도 속도가 붙게됐습니다. <br> <br>[서울 동자동 민간 택지 건물주] <br>"쪽방촌 사람 빠지고 서울역 앞에 서울시 한복판에 옛날 자유당 때 지은 집 더덕더덕 있는 것 빨리 사업해 지을 수 있어 좋죠." <br> <br>국토부와 서울시는 올해 지구 지정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