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 "아동 성착취 '위장 수사' 법제화 속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n번방 등을 계기로 드러난 아동 성 착취 범죄가 음지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은 대응을 위해 관련 범죄에 대한 위장 수사 법제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경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n번방과 박사방 등 사건을 통해 드러난 성 착취 등 디지털 성범죄.<br /><br />경찰이 지난해 특별수사본부를 운영한 결과 1천여 명의 피해자들이 확인됐고 다수가 10대였습니다.<br /><br />사회적 공분이 일면서 주요 피의자 신상이 공개되는 등 처벌이 이어졌지만 유사 범죄는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 측은 "텔레그램 등에서 신분증 인증 등 보안을 강화해 어린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 착취 범죄 사건이 접수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10대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성 착취 범죄가 계속되자 경찰은 '잠입 수사' 법제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울러 현재 국회와 시민단체 공청회 추진 등을 통해 아동 성범죄 위장 수사 필요성의 사회적 공감을 얻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는 상황.<br /><br />경찰 관계자는 "위장 수사가 가능하다는 사실만으로도 범죄 억제에 효과가 크다"며 "추가 피의자 추적 검거도 용이해질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디지털 범죄처럼 익명성 뒤에 숨어서 한다든가 이런 이유로 기존 수사 방법은 한계가 있다…잠재적 범죄자의 범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계기가 마련되기 때문에 디지털 범죄의 수사와 예방에 있어 상당한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는 거죠."<br /><br />미국 등 해외 국가들은 아동 성 착취물 소지하기만 해도 실형에 처하는 등 중대범죄로 보고 위장 수사를 더 강화하는 추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. (mo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