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가 이뤄지지 않고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-중 양국의 외교 수장이 첫 통화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호적인 덕담이 오가는 일반적인 첫 통화와 달리, 서로 날카로운 대립각을 가감 없이 드러낸 통화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3주째가 되도록 정상 간 통화가 없는 가운데 이뤄진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의 통화. <br /> <br />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원론적인 언급을 잠시 했을 뿐, 주저 없이 공격적인 입장을 서로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미 국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블링컨 장관이, 미국이 신장과 티베트, 홍콩 문제에 대해 인권과 민주적 가치를 계속 지지할 것임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미얀마 군사 쿠데타를 비판하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중국도 동참하라고 압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대만해협을 포함해 인도·태평양지역의 안정을 위협하고 국제사회의 규칙을 무시하는 중국에 책임을 묻고자 동맹들과 협력하겠다고 직격탄을 날렸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중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거의 모든 문제에 대해 거침없는 속마음을 드러낸 것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도 결코 밀리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양제츠 정치국원은 "중국은 미국이 잘못을 바로잡아 상호 존중과 협력으로 두 나라 관계를 발전시키길 촉구한다"며 꼬인 양국 관계의 책임을 전적으로 미국에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또 대만 문제는 중미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핵심 문제로 중국의 주권과 영토 문제가 걸려있다며 미국은 '하나의 중국' 원칙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고 맞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과 신장 등의 문제는 중국 내정으로, 어떤 외부세력의 간섭도 용납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혹시나 관계 개선의 물꼬를 틀 수 있을까 했던 미·중 외교수장의 첫 전화는 결코 쉽지 않은 양국 관계의 앞날을 확인하는 데 그쳤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20622295585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