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겨울에는 한파가 심해 시설 하우스 농작물들이 냉해 등 큰 피해를 입었지만 김 양식에는 한파가 오히려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닷물 수온이 떨어지면서 매번 어민 속을 썩였던 갯병과 황백화 현상이 올해는 사라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KCN 금강방송 최정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어선들이 싣고 온 물김을 대형크레인이 끌어올립니다. <br /> <br />경매를 거쳐 시중으로 유통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말 기준 군산지역 김 위판량은 만 2천 757톤, 일 년 전보다 7.1%, 847톤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생산량 증가로 위판금액도 지난해보다 3%가 늘어난 113억 5천여만 원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마다 이맘때쯤이면 김 양식 어민들은 마음고생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성하게 자라야 할 김 엽체가 자라지 못하는 갯병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황백화 현상까지 겹치면 김 양식은 사실상 포기할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 양식 어민 : (작년만 해도) 도중에 갯병이 다시 와서 김이 많이 빠져나가고 김보다 오히려 잡태가 더 많았기 때문에 철망 할 수밖에 없는 여건이었어요.] <br /> <br />하지만 올해 김 양식 작황이 좋은 것은 겨울 한파가 도움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군산 앞바다에서는 한파가 오기 전인 지난해 12월 초만 해도 어김없이 갯병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파로 바닷물 수온이 평년보다 2도 이상 낮아지면서 갯병이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황백화 현상도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는 김 양식에 피해가 없도록 추위가 좀 더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군산수협 관계자 : 올해는 황백화 현상도 거의 없어요. 비안도 쪽도 많이 좋아졌고 전체적으로 상황이 많이 좋아졌어요.] <br /> <br />시설 하우스 냉해 등 적지 않은 피해를 줬지만 김 양식에는 오히려 도움이 된 한파. <br /> <br />모처럼 김 양식 어민들의 시름이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KCN NEWS 최정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20703074496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