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미군 배치 재검토' 들어간 美…주한미군도 조정 대상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지시로 미 국방부가 전세계 주둔 미군 배치를 재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한미군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지 관심인데요.<br /><br />신새롬 기자가 짚어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군 배치 재검토를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 "오스틴 국방장관은 우리의 군사력이 우리 외교 정책과 국가안보 우선순위에 적절하게 부합하도록 미군의 전 세계 배치 검토를 주도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미 국방부는 즉각 "미군의 주둔 범위와 자원, 전략 등에 대한 검토"를 예고하고, 동맹ㆍ파트너들과 긴밀히 상의해 올해 중반까지 검토를 완료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한국에 주둔한 미군 규모는 현재 2만8천500여 명.<br /><br />전 세계 미군 배치 재검토 대상에 주한미군도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번 검토의 핵심 지역 중 하나가 인도ㆍ태평양이라는 겁니다.<br /><br /> "한반도 지역은 미국의 중국 포위 전략과 아주 긴밀히 연계돼 있잖아요, 새로운 대북정책을 만들어 내고 이에 기초해서 한미 동맹, 한미 협조 관계 등 큰 맥락 속에서 주한미군의 재배치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."<br /><br />다만, 규모 조정보다는 역할과 임무 변화 가능성이 더 높게 점쳐집니다.<br /><br />세계 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군이 그간 추진해온 순환 배치ㆍ전략적 유연성 강화 등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주한미군이라는 표현 자체가 없어질 가능성이 있어요, 캠프 험프리스를 거점 기지로 활용하고 싶어 하는 생각이 있거든요. 순환 배치되는 전력들이 다녀가는 그런 형식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당연히 중국이 반발할 가능성이 크죠."<br /><br />하지만, 미국의 대북ㆍ대중 정책 등이 아직 검토 단계인 만큼, 당장 큰 폭의 변화가 있기는 어렵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또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주한미군 배치가 방위비분담금 협상과 연계될 가능성도 작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. (ro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